인증 신뢰도 높은 기관보다 비용 낮은 기관 선택
기업정보 전달보다 홍보와 규제회피 목적이 큰 탓

CDP코리아 한국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회계학회와 성현회계법인이 공동 주관한 ESG 글로벌 스탠다드 컨퍼런스가 열렸다. 사진=성현회계법인 제공
CDP코리아 한국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회계학회와 성현회계법인이 공동 주관한 ESG 글로벌 스탠다드 컨퍼런스가 열렸다. 사진=성현회계법인 제공

[ESG경제=이신형기자] 국내 기업의 ESG공시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구대학교 정준희 교수는 23일 성현회계법인이 주최한 ESG 글로벌 스탠다드 컨퍼런스 발제 자료에서 국내 기업의 지속가능성(ESG) 공시의 인증 비율은 93%로 미국의 71%, 영국 55%, 일본의 47%, 표본국가 평균 48% 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인증기관을 선정할 때 인증 신뢰성이 높은 기관보다 인증 비용이 낮은 기관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어 신뢰성 문제가 발생한다고 그는 지적했다. 국내 기업이 ESG공시 인증비용에 인색한 것은 “정보 전달의 목적보다 홍보나 규제 회피의 목적이 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공시기준 제정이 추진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공시 기준이 존재해 비교가능성(comparability)을 저해하는 것도 문제라고 그는 지적했다.

국내 기업 ESG공시의 적시성과 정보 유용성 측면에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 교수는 공시의 적시성을 위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기본적으로 재무제표와 ESG 정보를 동시에 보고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 기업은 재무제표를 포함한 사업보고서 공시 후 3~4개월이 지난 6월과 7월에 집중적으로 ESG공시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ESG 공시가 이 시기에 집중되는 것은 “국내 유력 평가기관의 (ESG) 평가 확정(8월) 직전”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ESG 공시가 주가 또는 기업 가치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여야 하며 기업은 ESG 공시를 규제가 아닌 투자자 정보 제공이라는 정보 유용성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들이 ESG공시를 규제로 이해한다면 유용성이 떨어지는 정보 생산비용만 부담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