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및 생물다양성 위기대응을 위한 자연금융 확대 토론회' 개최
오는 11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려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기후솔루션과 더불어민주당 이학영 국회의원, 백선희 국회의원,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이 오는 11일 '기후 및 생물다양성 위기대응을 위한 자연금융 확대 토론회'를 개최한다.
기후솔루션은 "생물다양성 손실과 기후변화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양대 위기"라면서 "기후위기는 생물다양성을 파괴하고, 생물다양성 없이는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국은 한정된 국토와 높은 도시화로 제한된 생태계 수용력에 비해 높은 소비 수준, 즉 ‘생태발자국’으로 국내외 생물다양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기후솔루션은 "한국도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과 생물다양성협약(CBD)이 정하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국가생물다양성전략(NBSAP)의 수립 및 이행 의무가 있는 바, 각 목표에 부합하는 정책 및 금융 시스템의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대응에 기후금융이 중요한 것처럼,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을 위해서는 ‘자연금융’의 확대가 뒷받침돼야 한다. ‘자연을 위한 파리협정’이라고 불리는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는 실천목표에서 생물다양성과 기후에 해로운 산업 및 관행에 대한 재정 지원을 단계적 퇴출하고, 공동의 기후 편익을 제공하는 ‘더 많은 자연’(nature-positive) 이니셔티브를 위한 재원 동원을 촉구하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대한민국이 감당해야 할 자연금융의 몫이 2030년까지 연간 5.5조 원으로 계산된다면서, "본 토론회는 글로벌 생물다양성 및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나아가 시중은행 등 민간 금융 기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에서는 '자연금융 격차 진단,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한국은행의 역할'을 주제로 Eleonora Fasan 기후솔루션 연구원의 발제가 있을 예정이다. '생물다양성 유해보조금의 단계적 제거: 현황과 해법'을 주제로 구경아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원의 발제도 이어진다.
패널토론은 '파리협정 및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이행을 위한 각계의 협력'을 주제로 ▲환경부 김태오 자연보전국장 ▲금융감독원 황재학 수석조사역 ▲KB금융그룹 김경남 ESG상생본부장 ▲아시아기후변화투자자그룹 조대현 매니저 ▲풀씨행동연구소 신재은 캠페이너 등이 토론에 참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