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기업 80%, 임원급여 ESG 목표에 연동…미국의 2배

임원 보상체계에 지속가능성 연계한 기업 비율, 미국 44%·EU 81% 지속가능성 보상 반영기업, 中(13개)·日(19개)이 美(11개)보다 많아 미국 기업, 대부분 단기적 지속가능성 목표만 보상체계에 고려

2025-04-04     김연지 기자
KPMG가 최근 발표한 ‘장기적 가치 창출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보고서 표지. 사진=KPMG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KPMG가 최근 발표한 ‘장기적 가치 창출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연합(EU) 내 대기업의 80% 이상이 고위 임원의 급여에 지속가능성 요소를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기업의 약 2배에 달한다. 

KPMG는 보고서를 위해 호주,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 등 15개국의 시가총액 기준 상위 25개 기업을 포함한 375개 상장기업의 2023년 연간 보고서와 일부 급여 보고서를 조사했다. 

이같은 조사를 통해 보고서는 전체 기업의 78%가 고위 임원의 보상 체계에 지속가능성 기준을 통합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별로는 프랑스가 100%의 기업에서 급여를 지속 가능성 요인과 연계하여 평가하여 그룹을 이끌었고, 독일과 영국이 각각 25개 기업 중 24개로 그 뒤를 이었다. 

국가별 시가 총액 기준 상위 25개 기업 중 임원 보상체계에 지속가능성을 연계한 기업의 수. 사진=KPMG

보고서는 미국 기업이 임원들의 보상체계에 지속가능성 요소를 연계하는 측면에서 글로벌 경쟁업체보다 뒤처져 있으며, 단기 지속가능성 목표에 훨씬 더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평균적으로 EU 기업의 81%가 임원들의 급여를 지속가능성과 연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은 15개국 중에서 이같은 기업 비율이 가장 낮은 44%에 불과했다.

이처럼 보상체계를 지속가능성과 연계한 미국 기업들도 지속가능성 목표를 사업의 핵심 전략과 연계하는 경향은 다른 국가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비즈니스 핵심전략과 지속가능성 목표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일치시키는 기업은 미국 기업(보상체계를 지속가능성과 연계한 기업 대상)의 경우 60%에 불과했으며, 이는 EU 기업의 85% 이상, 전 세계 기업의 88%에 비해 낮은 수치다. 

보고서는 또한 기업이 보상과 연결짓는 지속가능성 카테고리를 조사했는데, 기후 변화와 직장 내 노동환경이 가장 많이 고려된 범주였다. 이러한 범주 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체적인 목표에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 배출 강도, 에너지 소비, 재생에너지 점유율이 포함되었고, 노동환경 범주에는 직원의 의사결정 참여 지수, 여성 관리자 및 임원 비율, 성별 및 동등한 임금 격차, 산업재해율이 포함돼 있었다.

보고서는 또한 지속가능성 목표와 연계된 보상에서 고려하는 시간 범위에 상당한 지역적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속가능성을 보상과 연계하는 기업 중 37%는 단기 및 장기 지속가능성 목표를 모두 사용하고, 40%는 단기 목표만 사용하며, 23%는 장기 목표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기업의 경우 거의 모든 기업(11개 중 10개)이 단기 목표만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속가능성 관련 보상에서 단기 및 장기 목표를 모두 고려하는 기업이 가장 많은 국가는 이탈리아(23개 중 20개)와 프랑스(25개 중 19개)였으며, 독일은 장기 목표만 고려하는 기업이 가장 많은 국가(23개 중 13개)였다.

KPMG 글로벌 ESG 거버넌스 책임자인 나딘 호니우스는 보고서에서 "기업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 식별에 진전을 이루었지만, 그 실현은 일반적인 사업 계획 주기와 다를 수 있다”면서 “일상적인 의사 결정에 지속가능성을 반영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의사결정과 사업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는 기업의 거버넌스 모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