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경영투명성 높아질까
사외이사회 신설...초대 선임사외이사에 심달훈·조화순·김화진 임명 이사회 거버넌스 강화...사외이사진, 의사결정에 자주적 참여 기대 보수위원회 전원 사외이사로..."더욱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체제 갖춰"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들의 대표인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고 이사회 거버넌스를 강화한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이달 각 사별로 열린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하고,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현대차 심달훈 사외이사(전 중부지방국세청장), 기아 조화순 사외이사(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대모비스 김화진 사외이사(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각각 임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확충해 이사회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다. 국내 금융권은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따라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의무로 두고 있다.
국내 법령상 비금융권 기업은 이를 도입하지 않아도 되지만,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가 보다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는 취지에서 제도를 도입했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만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갖는다. 사외이사들을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 자료 및 현안 보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맡는다. 사외이사진과 경영진, 주주 사이의 원활한 소통도 이끈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이번 제도 도입을 통해 사외이사진이 이사회 의사 결정 과정에 보다 자주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들 3사는 또한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회도 신설했다.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하기 위해서다. 각 사는 사외이사 전원으로 사외이사회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3사는 지난달 각 사별 이사회에서 이사회 산하 보수위원회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도 확대했다. 보수위원회는 등기이사 보수 한도 등을 심의하고 의결하며,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는 역할이다.
이사회 결의로 3사 이사회의 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체제로 전환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경우 사내이사 1인을 제외한 모두가 사외이사로 채워졌다. 현대차는 "이 같은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더욱 투명한 경영 의사 결정 체계를 갖추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