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9%, “온실가스 감축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우선해야”

기후정치바람, 전국 성인 4500여명 대상 여론조사 국민절반 이상 기후위기 인식 수준 높은 '기후시민' 원전 신규 건설 놓고 찬성 57.5% vs 반대 32.4% 전 집단서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우선' 응답 최다

2025-05-07     김현경 기자
환경단체 기후위기비상행동과 기후정치바람이 지난 4월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후 단일의제 대선 TV 토론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대한민국 국민의 약 51%가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기후시민'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59%가 전력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가 우선해야 할 정책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꼽았다. 

기후정치바람은 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기후인식조사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개최한 ‘기후민주시민이 바라는 기후정치’ 세미나에서 이같은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정치바람은 국내 시민단체 녹색전환연구소와 더가능연구소, 로컬에너지랩이 모여 결성한 단체다. 

단체는 전국 18세 이상 4482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기후위기와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기후민주시민’이 원하는 기후정치가 무엇인지 알아봤다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기후∙민주주의 모두 여성이 높은 민감도 보여"

조사 결과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개인적으로 실천하고 관련 정부 정책 등에 대해 관심이 높은  ‘기후시민’은 전체 응답자의 50.9%로 집계됐다. 특히 모든 연령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기후시민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층에선 전 연령대가 전체 평균을 넘겼으며, 남성 집단 중에선 60대(55.5%)만이 전체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기후시민 비중이 가장 낮은 집단으론 30대 남성(38.3%), 18~29세 남성(38.8%), 40대 남성(49.1%)이었다. 

기후정치바람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의 '2025년 기후정치바람 기후인식조사 결과: 기후민주시민이 바라는 기후정치' 발제 자료 중 발췌

지역적으론 인천(57.4%), 전남(56.1%), 경북(55.8%), 대구(54.4%), 전북(52.3%) 순으로 기후시민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들 지역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는 “특히 작년과 비교해 대구경북 지역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며 “조사 시점인 지난 4월 직전 3월 말부터 (경북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시작되면서 응답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나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단체가 조사한 ‘기후시민’ 가운데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도도 더불어 높은 ‘기후민주시민’은 전체 응답자의 36%로 드러났다.

기후민주시민의 성별 및 연령대별 비중 역시 기후시민 조사 결과와 유사하게 50대 여성(45.1%), 30대 여성(42.1%), 40대 여성(40.2%) 순으로 가장 높았다. 가장 낮은 건 18~29세 남성(24.7%), 30대 남성(27.7%), 70대 이상 남성(29.6%)이었다. 

서복경 대표는 “이번 조사에선 확연히 여성들이 민주주의와 기후에 대한 (높은) 민감도가 도드라지고 있고, 정책 태도에 있어서도 작년 조사 결과와 차이가 많이 났다”고 설명했다. 지역적으로는 전남(42.7%), 전북(42.3%), 인천(39.9%), 경기(37.9%) 순으로 가장 높았다. 

기후민주시민, 68% 재생에너지 확대 우선 

전력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가 가장 우선해야 하는 정책으로는 가장 많은 58.8%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꼽았다. 이어 원전 확대(24.8%), 석탄발전 감축(10.1%)으로 드러났다. 

특히 기후위기와 민주주의 인식 수준별로 나눈 4개 집단 모두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장 우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후정치바람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의 '2025년 기후정치바람 기후인식조사 결과: 기후민주시민이 바라는 기후정치' 발제 자료 중 발췌

이 가운데 기후민주시민은 68%가 재생에너지 확대, 13.6%가 원전 확대를 꼽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비기후비민주시민’은 재생에너지 확대 42.8%, 원전 확대 42%로 0.8%p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원전 신규 건설에 대해선 응답자 전체 중 찬성이 57.5%, 반대가 32.4%를 보이며 찬성이 우세한 가운데 기후민주시민은 찬성 비율이 반대보다 1.2%p 높아 대동소이했다.

다만 노후원전 수명연장에 대해선 기후민주시민의 반대 비율이 51.8%로 찬성 35.9%를 압도했다. 전체 응답 결과론 찬성 48.2%, 반대 41.8%로 나타났다. 

해당 설문 조사는 지난 4월 7일부터 30일까지 24일간 전국 18세 이상 시민 44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전국 ±1.5%p, 광역 ±3.5%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