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브리핑] 풍력·태양광 상반기 입찰…풍력평가에 안보지표 첫 반영

2025-05-26     김현경 기자
전남해상풍력 1단지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10기. 사진=SK이노베이션 E&S

정부가 풍력 설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서 최초로 공급망과 안보 요소를 반영한 '안보지표'를 평가 항목에 포함해 입찰을 진행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공급망과 안보 요소를 평가 지표에서 강화해 2025년 상반기 풍력·태양광 설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www.knrec.or.kr)는 이날 풍력 1.25GW, 태양광 1.0GW 입찰을 공고했다.

우선 풍력 경쟁입찰(1.25GW)은 고정식 해상풍력을 대상으로 한다. 이 중 500㎿ 규모는 올해 처음 도입된 '공공주도형' 입찰시장 물량으로 발전공기업 등이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나머지 750㎿는 민간 주도 방식의 일반형 입찰 물량이다.

산업부는 "올해부터 풍력 경쟁입찰이 연 2회에 걸쳐 진행되는 만큼, 지난해 진행했던 부유식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은 하반기 공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유식 해상풍력과 육상풍력의 공고 용량은 입찰 로드맵에 따른 잔여 물량 수준과 입찰 수요를 반영해 결정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입찰에서는 사업자 선정 평가 항목에 '안보지표'가 신설돼 공공주도형에는 8점, 일반형에는 6점이 배점됐다. 발전설비 및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국내 공급망 기여 수준, 공급처 다변화 등의 안보 요소가 입찰의 평가의 주된 기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