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E, 美 자산운용사 자금 위탁 재고 경고

650억 달러 규모 PME, 위탁 자산운용사 선정 기준에 ESG 필터 강화 스테이트 스트리트, CA100+ 탈퇴 후 유럽 연기금 거래 중단 "유럽 연기금 미국 자산운용사 거래 중단 더 늘어날 " 전망

2025-05-27     김연지 기자
네덜란드 기계업체기금(PME)의 로고. 사진=PME 홈페이지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자산규모가 650억 달러에 달하는 네덜란드의 기계업체기금(PME)이 트럼프 행정부의 반기후·반ESG 정책 기조에 굴복하는 미국의 자산운용사들에게 자금 운용을 위탁하는 것을 재고하겠다고 경고했다. 

블룸버그의 2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PME는 6월 30일 예정된 기금 위탁 자산운용사 선정을 앞두고 이같이 밝혔다. PME는 현재 블랙록을 포함한 여러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를 통해 기금을 관리하고 있다. PME는 블랙록이 지난해 클라이밋 액션 100+(Climate Action 100+, 이하 CA100+)을 탈퇴할 당시에도 블랙록에 대한 50억 유로 규모의 자금 위탁을 재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PME, 자산 운용사 선정 기준에 ESG 필터 강화

PME의 책임투자 수석 전략가인 댄 스파르가렌은 블룸버그에 "그들은 트럼프의 행보와 운영 방식, 기후 변화와 사법부를 무너뜨리는 방식을 비판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그 점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파르가렌은 트럼프 정부의 반기후·반ESG 기조가 투자 산업이 입장을 표명해야 하는 정치적 변화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산 관리자들이 자신들의 정책을 미국 현 행정부에 맞추면, 우리도 그들에게 자금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조치와 관행을 합법화하는 데 일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PME는 기금 위탁과 투자 유지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면서, 새로운 심사 기준에 ESG 필터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PME는 ▲건전한 지배구조 ▲(노동자들의)결사의 자유 ▲물 부족과 같은 환경적 고려 사항을 기반으로 보유 자산을 평가할 예정이다. 또한 환경, 사회, 지배구조 리스크가 감지되는 패시브 운용 주식 투자는 자동으로 포트폴리오에서 제외된다. 

PME는 기금 위탁사와 투자 기업을 정기적으로 검토해 왔지만 이번에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스파르가렌은 "미국 자산 운용사들은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동조하거나 매우 관대하게 반응하고 있다”면서 "이 같은 태도가 단순히 새로운 행정부가 들어선 것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미국 기업들이 ESG공시와 같은 방식으로 PME와 같은 기관 투자자들에게 트럼프의 정책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줄 기회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미국 기업들이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또는 기후에 대한 보고를 중단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럽 연기금의 미국 자산운용사 기금 위탁 중단 사례 많아져

한편, 블룸버그에 따르면 PME를 포함한 유럽 연기금들이 미국 자산운용가들에 기금 위탁을 중단하고 있다. 지난 3월 스테이트 스트리트(State Street Global Advisors)가 CA100+와 넷제로 자산운용사 이니셔티브(NZAMI) 탈퇴한 후 영국 피플즈 펜션(People's Pension)과 덴마크 연기금 아카데미커 펜션(AkademikerPension)와의 위탁 계약이 종료됐다.  

당시 아카데미커 펜션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안데르스 셸데는 "우리는 투자에 있어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준을 비교적 높게 적용하고 있다"면서 “그들이(자산운용사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과 우리의 사고방식이 어느 정도 일치해야 한다”고 위탁 계약 종료 이유를 밝혔다. 

알리안츠 글로벌 인베스터스의 선임 매니저는 블룸버그에 트럼프 행정부의 공화당 정책으로 인해 미국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투자 활주로"를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약 1200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한 덴마크 연기금 PFA의 ESG 투자 책임자 라스무스 베싱 역시 미국의 일부 대형 자산 운용사들이 기후 목표를 철회한 결정을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운용사에 자산 운용 권한을 부여할 경우, 그들이 자사의 넷제로 지속가능성 전략에 따라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자산 운용사의 대응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이러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