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재생에너지 구매 세액공제 확대·산업단지 저탄소에너지 도입"

대선 8일 앞두고 탄소중립산업 지원-재생에너지 확대 공약 대거 발표 기후테크 중심 국제 원조사업 재편...국제감축과 기후산업 동시 달성 이재명 '탈플라스틱 로드맵' 대응 '플랙시트' 제시...순환경제 성장 약속

2025-05-29     김연지 기자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국토 발전 관련 공약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본투표일(6월 3일)을 8일 남기고 발표한 정책공약집에서 탄소중립산업 지원과 탄소 재생에너지 확대 지원 등을 대거 약속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26일 200여 페이지 분량의 정책공약집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공약집에서 국민의힘은 ‘글로벌 기후테크 선도기업 육성을 통한 기후산업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K-기후기술 창업펀드 조성 및 청년 스타트업 특별 지원제도 개발 ▲수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탄소포집 및 저장기술(CCUS), 소형모듈원전(SMR) 등 기후테크 R&D 지원 ▲저탄소 산업 공급망 국산화 및 수출 지원 강화 등을 실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기후테크 중심 국제 원조사업 재편으로 국제감축과 기후산업 육성을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를 통해 국제 감축사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기업들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서는 ▲기후 인센티브 지원 확대 ▲기업의 재생에너지 구매비용에 대한 세액공제 강화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국내 탄소저감 인증제도 구축 ▲산업단지 차원의 에너지 효율화 설비 개선 및 저탄소 에너지 도입도 활성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존 에너지 정책 공약에서는 원전 확대만 언급했던 것과 달리, 이번 공약집에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공약도 포함됐다. 국민의힘은 ▲발전공기업 등 공공부문의 재생에너지 사업 역할 강화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전력망 적기 구축 ▲국산 재생에너지 설비 소재·부품에 낙찰가점, 구매가격 보상 등 실질적 혜택 부여 ▲기업의 RE100, CF100 등 무역장벽 대응 지원 ▲충남 등 석탄발전 폐지지역을 수소에너지, SMR 등 청정에너지 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공약을 세웠다.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수립하겠다고 밝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공약과 유사한 ‘플랙시트 프로젝트’에 대한 공약도 나왔다.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과 생분해 플라스틱 산업을 적극 육성해 순환경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을 연 10조원 이상 규모로 확대 ▲수출 가능한 순환형 플라스틱 소재 개발 ▲국내 순환경제 산업 규모를 50조원 이상으로 성장시키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공약집에서 “저출산시대 한국에서 사회적 책임의 핵심 가치가 가족이라는 인식을 정착시키기 위해 EFG(환경·가족·투명한 지배구조) 경영을 확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한 EFG 경영전략으로 ▲유연 근로 대폭 활성화(탄력근무, 선택근무, 재량근무 등 사용 기간을 확대해 유연근무제 활성화하고 도입 사업장 사업주 지원금 신설) ▲직장어린이집 확대 및 지원 강화 ▲직장 내 괴롭힘 특별법을 제정 등을 내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