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브리핑] EU, 탄소중립 위한 원전 확대 계획… 자금 조달이 관건

캘리포니아 등 11개 주, 트럼프 2035 차량 규제 폐지에 반발… 소송 제기 유럽의회 의원, “EU CSRD 적용 대상 추가 완화해야” 뉴욕주, 전력 인프라 확대 위해 6억3000만 달러 규모 프로젝트 승인 메타, 미국 뉴멕시코주 차세대 지열 에너지 구매 계약 체결  미 EPA, 신규 바이오연료 혼합 의무 기준안 발표 임박

2025-06-13     김현경 기자
프랑스 시보에 위치한 프랑스전력공사(EDF)의 원자력 발전소 냉각탑에서 수증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EU, 탄소중립 위한 원전 확대 계획… 자금 조달이 관건

유럽연합(EU)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원자력 발전 확대를 계획하고 있지만, 이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약 2410억 유로(약 379조원)에 달해 자금 조달이 어려울 수 있다고 블룸버그뉴스가 EU집행위원회의 원자력 지침 프로그램 초안을 인용해 보도했다.

초안에 따르면, 기본 시나리오에서 전체 투자액의 4분의 3 이상이 신규 원자로 건설에 사용되며, 이를 통해 2050년까지 EU의 원자력 발전 용량은 109GW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며, 원자력 확대를 위한 자금 조달 수단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됐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6-12/europe-s-nuclear-ambitions-face-241-billion-funding-challenge?srnd=phx-green

캘리포니아 등 11개 주, 트럼프 2035 차량 규제 폐지에 반발… 소송 제기 

미국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11개 주가 12일 연방 의회가 캘리포니아주의 2035년 전기차 및 대형 트럭 배출가스 규제를 폐지한 데 반발해 연방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캘리포니아주의 전기차 판매 의무화와 디젤 엔진 규제를 무효화하는 내용의 의회 결의안 3건에 서명했다. 여기엔 2035년까지 내연기관 차량 판매를 금지하겠다는 캘리포니아주의 핵심적인 정책도 포함됐다.

소송을 제기한 주들은 조 바이든 정부 당시 환경보호청(EPA)이 승인한 연방 규제 적용 면제 조치를 트럼프 정부가 폐지했더라도, 이는 각 주에서 시행하는 환경 규제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확인해 줄 것을 법원에 요청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california-10-other-states-sue-block-trump-killing-2035-ev-rules-2025-06-12/

유럽의회 의원, “EU CSRD 적용 대상 추가 완화해야”

유럽연합(EU)은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의 적용 대상 기업 수를 더욱 줄여야 한다고 해당 정책 협상을 주도하고 있는 유럽의회 의원이 12일 밝혔다.

앞서  EU집행위원회는 지난 2월 EU의 지속가능성 관련 규제를 간소화한 정책 패키지인 ‘옴니버스 패키지’를 제안한 바 있다. 집행위가 제시한 CSRD 개정안은 직원수 1000명을 초과하고 매출 5000만유로 또는 자산 2500만 유로 초과 기업에게만 지속가능성 ESG공시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날 스웨덴 중도우파 성향의 유럽의회 의원 요르겐 바르본(Jörgen Warborn)은 이같은 집행위의 제안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직원수 3000명 초과, 연 매출 4억5000만 유로 초과 기업만 규제 대상으로 삼도록 법안을 더욱 축소하는 수정안을 발의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lead-eu-lawmaker-sustainability-laws-proposes-more-cuts-2025-06-12/

뉴욕주, 전력 인프라 확대 위해 6억3000만 달러 규모 프로젝트 승인

미국 뉴욕주 공공서비스위원회는 12일 총 6억 3620만 달러(약 8630억원) 규모의 전력망 및 전기차(EV) 충전 확충 등 전력 인프라 사업 29건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총 642MW 규모의 전력 수요를 추가로 수용해 전기화를 앞당길 전망이다. 위원회는 이같은 조치가 뉴욕주의 전력망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고 탈탄소화 목표를 앞당기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ny-state-public-service-commission-approves-29-power-projects-valued-6362-2025-06-12/

메타, 미국 뉴멕시코주 차세대 지열 에너지 구매 계약 체결 

메타는 XGS 에너지와 협력하여 미국 뉴멕시코주에서 150MW 규모의 차세대 지열 전력을 개발하고, 이를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의 인공지능(AI) 확장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양사는 12일 밝혔다.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빅테크 기업들이 전례 없는 규모의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하는 가운데, 지열 에너지는 탄소 배출량 감소 목표를 가진 많은 빅테크 기업들의 주요 전력 공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글은 지난해 페르보 에너지(Fervo Energy)에서 생산하는 차세대 지열 전력으로 자사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meta-signs-deal-advanced-geothermal-power-new-mexico-2025-06-12/

미 EPA, 신규 바이오연료 혼합 의무 기준안 발표 임박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정유사에 향후 2년 동안 적용될 신규 바이오연료 혼합 의무 기준안을 13일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관리예산처(OMB) 웹사이트에 따르면, 행정부는 EPA의 계획에 대한 검토를 마치고 추가 조치를 위해 이를 EPA에 반환했다. 소식통들은 이번에 발표될 혼합의무량에 업계 요청보다 낮은 바이오디젤 혼합 비율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white-house-completes-review-epas-biofuel-blending-obligation-proposal-2025-06-12/

IFRS, ISSB 공시 기준 채택 관할권 36곳으로 확대… 17곳은 최종 확정

국제회계기준(IFRS)이 12일 전세계 36개 관할권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채택하거나 사용 중이며, 이 중 17곳은 해당 기준의 적용 방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ISSB 기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의 확산이 계속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난해 11월 발표된 보고서에서는 30개 관할권이 해당 기준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고, 그보다 앞선 지난해 5월엔 20개 이상 관할권이 언급된 바 있다. 

https://www.esgtoday.com/ifrs-says-36-jurisdictions-are-moving-towards-using-issb-sustainability-reporting-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