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전력공급 전략 다시 세워야”
수도권 전력수요 4분의 1 규모 해당하는 대규모 전력수요 예상돼 3GW 규모 LNG 발전소, 비용 너무 크고 수출 경쟁력 저해할수도 산단 주변 태양광 발전 이용 시 LNG 사용 비해 30조원 절감 가능 경기도 전력망의 병목 현상, 반도체 공장의 안정적인 가동 위협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이재명 정부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과 탈탄소화 전략을 다시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회의원회관에서 18일 열린 ‘AI 혁신성장을 위한 에너지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한국과학기술평가원 김선교 연구원은 좌장을 맡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홍종호 교수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 공급)가능하냐”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수도권 전력 수요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10GW 가량의 대규모 전력 수요가 예상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한 전력 공급과 전력망 확충을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지만, 정부는 이에 대한 속시원한 해결책을 내놓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김 연구원은 “기존 계획에 따르면, 송전망 활용률이 20%에 머물러 있는 강원 지역의 송전망을 활용하고 남부에 있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이 공급원으로 논의됐다”면서도 “탈탄소화 노력과 전력 공급 노력을 동시에 해야 되는데 단순히 전력 인프라 확충 노력만으로는 지속가능한 부분이 담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3GW 규모 LNG 발전소 현실성 없어…재생에너지로 대체해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탈탄소화 계획은 커녕 전력공급과 전력망 문제 해결도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상인 교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10GW의 전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데 사실상 대책은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면서 “실제로 나온 논의는 3GW의 LNG 발전소를 만들고 추후에 수소 발전소로 바꾼다는 계획인데 너무 비용이 커 경제성이 전혀 없는 아이디어”고 지적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GW 용량의 신규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LNG 발전은 석탄 발전의 80%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배출하는만큼 탄소중립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없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지금의 계획대로라면 재생에너지 조달 규모는 19.87MW로 LNG 발전의 0.7%에 불과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RE100 회원사로 반도체를 수출하는 데 경쟁력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기후솔루션 임장혁 연구원은 “RE100 회원사들의 재생에너지 100% 조달 시점이 평균 2028년으로, 반도체 구매 기업들이 2025년부터 RE100에 동참하지 않는 협력사들을 공급망에서 배제하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매출의 19%가 리스크에 노출된다”고 말했다.
이어 임 연구원은 “반도체 국가 산단 25km 반경에 태양광 잠재량이 총 66기가와트 정도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LNG 발전소를 건설하고 LNG 발전소 건설을 통해서 이제 전기 요금을 통해서 전력을 구매했을 때에 비해 30조 원 정도 절감이 된다라는 시나리오를 도출했다”고 제언했다.
韓, 반도체 산업 화석연료·에너지 수입의존도 높아 에너지 안보 '취약'
한편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한 반도체 산업에서 한국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와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아 에너지 안보가 취약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존슨홉킨스대학교 탄소중립 산업정책연구소의 다르시 드라우트 베하레스 교수는 이번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베하레스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은 전체 에너지 수요의 80%를 수입한다.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화석연료 비중이 80%(석유 37%, 석탄 24%, LNG 19%)이며 화석연료 수입 의존율이 98%에 육박하기 때문에 사실상 전체 수입 에너지의 대부분이 화석연료라고 볼 수 있다. 더불어 경기도 전력망의 병목 현상이 반도체 공장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베하레스 교수는 이에 국내 생산 재생에너지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반도체 정책과 재생에너지 전략을 통합해 한국 에너지의 회복탄력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베하레스 교수는 이외에도 ▲친환경 반도체 정책 협력기구 ▲재생에너지 구매 보장제도 도입 ▲글로벌 친환경 반도체 외교 강화 등을 한국의 반도체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