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ZAOA, 산림파괴 기여 투자중단 촉구...투자자 행동지침 발표

회원사 총운용자산 1경 2700조원 집계 리스크 평가부터 공개 걸쳐 투자자 권고

2025-06-19     김현경 기자
인도네시아 파푸아 지역 열대림이 팜유 농장 개간으로 인해 파괴된 모습. 사진=그린피스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엔 주도의 기관투자자 연합인 넷제로자산소유자연합(NZAOA)이 전 세계 산림 파괴에 기여하는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이를 이행하기 위한 투자자 행동 지침을 발표했다. 

NZAOA는 18일 이런 내용이 담긴 산림파괴 중단을 위한 이해관계자 권장사항 및 지침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현재 NZAOA는 전 세계 연기금과 보험사 86곳을 거느리고 있으며, 이들의 총 운용자산은 9조2000억달러(1경 2690조원)다. 회원사로는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PERS)과 AXA, 알리안츠(Allianz) 등이 가입돼있다. 

보고서는 기후변화와 산림파괴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며, 산림파괴가 화석연료 연소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전 세계 연간 온실가스 배출원이라고 설명했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2%가 농업, 임업 및 기타 토지 이용(AFOLU) 부문에서 발생하는 가운데, 이 중 절반가량이 산림파괴와 토지 용도 전환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따라서 산림 파괴가 세계 경제에 구조적인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투자자들이 팜유와 목재 등 산림파괴와 밀접하게 연관된 원자재에 의존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로 인해 포트폴리오 수준에서 중대한 전환 리스크 또는 물리적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자 4단계 이행 지침 공개 

보고서는 산림파괴를 중단하기 위한 투자자들의 행동 지침으로 먼저 ▲투자 포트폴리오 내 산림파괴 및 관련 인권 침해 리스크를 평가해야 하며 ▲2030년까지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산림파괴와 산림전용, 인권 침해를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이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산림 파괴와 관련한 주주제안 등 적극적인 주주 관여 활동을 수행하고, ▲중대한 산림파괴 리스크 익스포저(노출) 및 관련 인권 침해,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조치들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보고서는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가 내놓은 산림 및 토지, 농업 가이던스(SBTi FLAG), 비영리단체 세레스(Ceres)의 삼림벌채 및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투자자 가이드 등 산림파괴를 중단하기 위한 관련 리스크 평가 프레임워크가 이미 다수 존재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기업과 정책결정자 등 관련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이행 지침도 제시했다. 기업엔 ▲공급망 내 산림파괴가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정기적 실사 수행 ▲기업 활동에 따른 탄소배출량 공개 시 가능하다면 산림파괴 및 토지 이용 관련 배출량도 포함해 보고할 것 등을 권고했다. 

또한 정책 당국엔 ▲환경에 유해한 보조금을 폐지 또는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산림파괴와 연관된 원자재 및 제품의 수출입을 금지하거나 관련 공급망 실사를 철저히 이행하도록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