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28년부터 모든 상용차에 수소연료전지 적용
모든 상용차 신모델 수소차와 전기차로만 출시 수소에너지와 모빌리티 결합한 다양한 이동수단 출시
[ESG경제=이신형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은 앞으로 출시할 트럭과 버스 등 모든 상용차의 신모델 수소전기차와 전기차로 출시할 방침이다. 상용차 신모델은 배출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차량만 만들겠다는 얘기다.
현대차그룹은 또 오는 2028년까지 기존 모델을 포함한 상용차 전 라인업에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전지 상용차의 조기 투입으로 2030년 내수 상용차 시장에서 연간 20만톤 이상의 수소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그룹은 크기와 가격은 줄이고 출력과 내구성은 높인 차세대 100kW급과 200kW급 연료전지시스템도 공개했다.
현대차그룹은 7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하이드로젠 웨이브(hydrogen Wave) 행사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수소비전 2040’을 발표했다. 2040년까지 수소에너지의 대중화를 이룬다는 비전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기조 발표자로 나서 “현대차그룹이 꿈꾸는 미래수소사회 비전은 수소에너지를 ‘누구나, 모든 것에, 어디에나’ 쓰도록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런 수소사회를 2040년까지 달성하려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8~11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수소모빌리티+쇼와 연계해 일반인도 관람할 수 있는 하이드로젠 웨이브 전시행사를 진행한다.
수소에너지는 탄소중립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소 관련 글로벌 최고경영자 협의체인 수소위원회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18%를 수소에너지가 차지하고 시장 규모는 2조500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는 60억톤 이상, 고용 창출 효과는 3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고 일본은 이보다 앞선 2017년 수소기본전략에서 2050년까지의 장기적인 수소사회 비전을 제시했다. 독일은 지난해 6월 국가수소전략을 발표한 후 연방전부 차원에서 수소시장 개척을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지난해 7월에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전 산업에 수소 활용을 확대한다는 내용의 수소경제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중국도 지난해 2035년까지 수수전기차를 100만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웠고 미국은 지난해 11월 에너지부 주관으로 수소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2035년까지 수소버스 1만7000대 도입 방안을 포함한 대중교통 전동화 전략을 공개하기도 했다.
부피 줄이고 출력 높인 3세대 연료전지 시스템
현대차그룹이 공개한 100kW급 연료전지 시스템은 현대의 수소차 넥쏘에 적용된 2세대 연료전지시스템에 비해 부피가 30% 줄었다. 상용차용으로 개발 중인 200kW급 연료전지시스템은 기존 넥쏘의 시스템과 부피가 비솟하지만, 출력은 2배 향상됐다.
현대는 상용차용 연료전지시스템의 내구성을 50만km 이상 주행거리를 확보할 만큼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 수소전기차가 일반 전기차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3세대 연료전지시스템의 가격을 지금보다 50% 이상 낮출 계획이다.
현대는 “3세대 연료전지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다”며 이를 발전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100kW급 연료전지를 여러 개 연결해 전력 소모량이 많은 대형 선박이나 기차, 건물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연료전지시스템을 얇은 형태로 만든 플랫형 연료전지시스템도 개발된다. 플랫형은 두께가 25cm에 불과해 차량 상부나 하부에 설치할 수 있고 버스나 트램, 소형선박, PBV(목적기반 모빌리티) 등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고 현대는 설명했다.
수소에너지와 모빌리티 결합 추진
현대차그룹은 자동차를 넘어선 모든 이동수단을 생산하는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고성능 수소연료전치차와 함께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이동수단을 선보였다.
트레일러 드론은 수소연료전지와 완전 자율주행기술이 적용된 2대의 차대 위에 트레일러를 얹은 운송 수단으로 일반 트레일러보다 좁은 반경에서 회전할 수 있다. 1회 충전으로 1,0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도록 개발될 예정으로 화물운송 뿐 아니라 건설과 소방,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2030년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7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형상용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대차그룹은 전장 5~7m 정도의 수소연료전지 PBV(목적기반 모빌리티)를 개발하는 한편 상용차 부문에 자율주행과 로보틱스까지 결합해 사업 역량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또 수소연료전지 상용차를 앞세워 연 40만대에 이르는 유럽 중대형 상용차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고성능 수소연료전지차 ‘비전 FK’는 연료전지와 고성능 PE(Power Electric System)을 결합해 1회 충전으로 최대 600km를 주행할 수 있고 500kW 이상의 출력을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 도달 시간은 고성능 스포츠카 수준인 4초 미만이다.
‘레스큐 드론’은 비행 드론과 소방용 방수총이 장착된 수소연료 이동수단이 결합된 특수목적 이동수단이다, 드론을 띄워 재난 현장을 촬영하면서 방수총을 가동해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자리 돌기나 대각선 주행도 가능하고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450~500km 정도다.
수소전기차에 수소를 충전하거나 외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H 무빙 스테이션’도 등장했다. 이동형 수소충전소로 수소충전소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이나 충전수요가 급증하는 지역에 투입된다.
수소로 발전을 해 재난지역이나 험지 등에 전력을 지원하는 재난구호차량도 개발된다. 4륜 구동이 가능한 험로 주행용 차량과 연료전지, 전기충전기가 결합한 형태의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