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어닝쇼크'...영업이익 4조원대로 '반토막'
3.9조원 규모 자사주 추가 취득 공시…2.8조원 소각 예정 밝혀 시장 전망치 1조원 이상 밑돈 4조6000억원…반도체 부진 지속 "DS 재고 충당 및 AI칩 대중제재 영향"...환율·관세 등도 악영향 "HBM, 고객별 평가 및 출하 진행중"…2분기 '바닥' 찍고 개선 기대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삼성전자가 계속되는 반도체 사업 부진의 영향으로 올해 2분기영업이익이 시장전망치를 1조원 이상 밑도는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8일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5.94%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시장전망치 보다 1조원 이상 적고, 전 분기와 비교해도 31.24%나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주식 보상을 목적으로 총 3조9119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을 결정했다고 공시하고 가급적 빠른 시일내 소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은 2023년 4분기(2조8247억원) 6개 분기 만에 5조원 아래로 내려갔다. 2분기 기준으로는 2023년 2분기(6685억원) 이후 2년 만에 최저다.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이 9조원대를 기록한 것에 비하면 '반토막'이 났다.
매출도 74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0.09% 줄고, 전 분기 대비 6.49% 감소했다.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실적에 재고자산 가치 하락을 예상하고 미리 손실로 인식해 처리하는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이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을 크게 밑돌았다.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은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통틀어 총 수천억원 규모로 적지 않은 금액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이날 공시한 설명 자료에서 "DS는 재고 충당 및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하락했다"며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같은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개선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비메모리사업은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로 판매 제약 및 관련 재고 충당이 발생했으며 라인 가동률 저하가 지속돼 실적이 하락했으나, 하반기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 축소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반도체 사업이 부진을 지속하는 가운데 전 사업 부문에 걸쳐 원/달러 환율 하락과 관세 등의 여파로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파운드리와 시스템LSI(설계)를 포함한 비메모리 부문과 낸드가 적자를 이어가고, 고부가 제품인 HBM은 아직 실적 기여도가 낮은 상황이다.
지난 1분기에 전사 실적을 이끈 모바일경험(MX)사업부도 연초 갤럭시 S25 출시 효과 소멸로 비수기에 진입했다. TV와 가전 사업도 수요 위축이 길어지는데다 관세 부담과 시장경쟁 심화로 인한 비용 증가가 겹쳐 수익성이 둔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이날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영업이익을 1조원대로 예상한다. 다른 사업부 영업이익 전망치는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 2조원대, 디스플레이 6000억∼7000억원, TV·가전 4000억∼5000억원, 하만 3000억∼4000억원 등이다.
한편 삼성전자 실적은 2분기에 저점을 찍고서 하반기에는 메모리 위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메모리 가격 상승으로 업황 기대가 커지고 있고, 반도체 불황기에 실적 버팀목 역할을 해온 모바일과 디스플레이도 성수기에 진입하기 때문이다.
특히 HBM3E 12단 제품의 AMD 공급에 따라 D램 내 HBM 비중이 상승하고, 파운드리도 신규 거래처 가세와 비용 효율화에 힘입어 적자 폭이 3분기부터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이다.
"자사주 가급적 빠른 시일 내 소각"…'1년간 자사주 10조원 매입' 계획 마무리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주식 보상을 목적으로 총 3조9119억원 규모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취득 예정 주식은 보통주 5688만8092주(3조5000억원), 우선주 783만4553주(4000억원)이다. 주당 취득 단가는 전날 종가를 기준으로 보통주 6만1700원, 우선주 5만1300원이다. 회사 측은 오는 9일부터 10월 8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해당 주식을 장내 매수할 예정이다.
이번에 매입하는 3조9000억원어치 자사주 중 2조8119억원은 주주가치 제고, 1조1000억원은 임직원 상여 지급 등 주식기준보상이 각각 목적이다.
삼성전자는 "주주가치 제고는 자기주식 소각을 의미하며, 소각은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적절한 시점을 정해 시행할 계획"이라며 "주식기준보상을 위한 자기주식 처분 시점과 주식 수 등은 향후 이사회에서 공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삼성전자는 작년 11월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1년간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날 삼성전자가 자사주 3조9000억여원어치 추가 매입 방침을 밝히면서 10조원 매입 계획은 마무리됐다.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 계획에 따라 지난해 11월 1차로 매입한 자사주 3조원어치는 지난 2월 전량 소각했다. 이어 2월에 추가로 자사주 3조원어치를 매입했으며, 이 중 2조5000억원을 소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