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기업 여성임원 6년새 2배 급증...올해 처음으로 8% 돌파
리더스인덱스 분석…여성 사외이사 7.6배 늘어나 증가 주도 여성 사내이사 34명 중 40% 오너일가...대부분 대표이사 직급 생활용품, 제약, 서비스, 식음료 등 소비재 업종에서 비중 높아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여성 임원이 6년 만에 2배 이상 크게 늘어나면서 전체 임원 중 비중이 처음 8%를 넘어섰다. 사외이사가 여성임원 증가를 주도한 가운데 여성 사내이사 가운데 40%가량은 오너일가였다.
8일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76개사의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기준 전체 임원 1만5016명 중 여성은 1210명으로 8.1%를 차지했다. 2019년의 505명(3.8%)에서 6년 만에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여성임원은 자본시장법 개정안 시행 이후 2023년 처음 1000명을 넘어선 후 매년 증가세가 이어졌다. 2022년 8월 시행에 들어간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 이사회를 특정 성별로만 구성하지 않도록 의무화했다.
다만 여성임원 중 현장에서 실무를 맡아 조직을 이끄는 미등기 임원 비율은 2019년 90.5%에서 계속 감소해 올해 71.6%로 낮아졌다. 대신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등기임원이 빠르게 늘며 여성 임원 증가를 이끌었다. 이 기간 미등기 여성 임원은 457명에서 866명으로 늘어 증가율이 2배에 못 미쳤지만, 여성 사외이사는 38명에서 292명으로 7.6배 늘었다.
등기임원 내에서도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 여성 사내이사 비율은 2019년 20.8%에서 2022년 12.7%로 떨어진 뒤 최근까지 15% 안팎에 머물고 있다. 나머지 절대다수는 여성 사외이사로, 이들 비중은 조사 기간 79.2%에서 84.9%로 높아졌다.
리더스인덱스는 "표면적으로는 성별 다양성이 확대됐지만 여성 임원의 상당수가 사외이사 중심으로 증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생활용품(19.5%), 제약(19.0%), 서비스(13.2%), 식음료(13.1%) 등 소비재 업종에서 여성 임원 비중이 높았다. 반면 조선·기계·설비(3.3%), 에너지(3.6%), 건설·건자재(3.7%) 등은 여성 임원 비중이 5%에 미치지 못했다.
올해 500대 기업에서 여성 사내이사는 총 34명이다. 이들 중 40%인 14명이 오너 일가 및 친인척 출신으로, 3명을 제외한 11명은 모두 사장(대표이사) 이상 직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