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브리핑]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 EU 배출 목표 달성 유력
유럽 전기차 업계,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사수” 촉구 캐나다, 전기차 판매 의무화 규정 연기...탄소중립 달성 속도 둔화 이탈리아, 재생에너지 전환 늦어 EU 감축 목표 미달 위기 상위 19개 재보험사, 자연재해 손실 보상 절반 이상으로 줄여
벤츠 제외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 EU 배출 목표 달성 유력
메르세데스-벤츠를 제외한 모든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이 2025-2027년 유럽연합(EU)의 탄소 배출 목표를 달성할 전망이다.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이 지켜야 하는 2025-2027년 EU의 탄소배출 목표는 2021년 배출량 대비 15% 감축이다.
이로써 2027년에는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배터리 전기차(BEV)가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수익성이 높은 내연기관 모델에 집중하면서 규제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벌금을 피하기 위해 볼보와 폴스타 등 다른 회사와 배출량 공동 관리(pooling)를 할 계획이다.
유럽 전기차 업계,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사수” 촉구
유럽 전기차 업계 관계자 150여 명이 유럽연합(EU)에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목표를 고수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서한에 서명한 볼보, 폴스타 등 전기차 업계는 목표가 연기될 경우, 유럽 전기차 시장이 위축되고 경쟁력이 약화되며 투자자의 신뢰를 잃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소식은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2035년 목표가 비현실적이라며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향후 EU는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목표에 대해 업계의 상반된 의견을 조율하고, 중국 및 미국의 경쟁에 맞설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전기차 판매 의무화 규정 연기...탄소중립 달성 속도 둔화
캐나다 정부가 2026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던 전기차 판매 의무 규정을 연기하기로 했다. 이 규정은 저스틴 트뤼도 전 행정부가 도입한 것으로, 2026년까지 신차 판매의 최소 20%를 무공해차로 채우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번 결정은 미국과의 무역 갈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제조업계의 부담을 덜어주고 내수 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마크 카니 현 총리 정부의 조치다. 카니 총리가 전임 정부의 정책을 철회하고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당장은 자동차 업계의 부담이 줄어들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캐나다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속도가 둔화될 수 있으며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탈리아, 재생에너지 전환 늦어 EU 감축 목표 미달 위기
이탈리아가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 지연으로 인해 EU의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에너지 기업 에디슨과 싱크탱크 TEHA 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목표 대비 10년이나 늦게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30년 탈탄소화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는 복잡한 인허가 절차, 높은 에너지 비용, 전력망 혼잡 등 여러 장애물로 인해 태양광 프로젝트 비용이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20% 더 높은 상황이다. 보고서는 이탈리아가 EU 목표를 달성하려면 규제 완화와 투자 유치를 위한 정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경제적 손실은 물론 기후 변화 대응에서 뒤쳐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상위 19개 재보험사, 자연재해 손실 보상 절반 이상으로 줄여
재보험사들이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 보상 부담을 크게 줄이고 있어 보험사들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S&P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상위 19개 재보험사는 지난 5년간 자연재해 손실에 대한 노출을 절반 이상 줄여 왔으며, 지난해에는 재해 손실의 10%만 보상했다. 이는 2019년의 약 25%에 비해 감소한 수치이며 역사적 평균인 20%보다 훨씬 낮다.
이처럼 재보험사들이 보상 범위를 축소한 배경에는 사업 확장보다 수익성 및 리스크 관리를 중시하게 된 전략적 변화가 있다. 한편 재보험사들이 재해 보상 범위를 축소하면서, 잦은 자연재해로 인해 손실 부담이 커진 일반 보험사들의 재정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향후 재보험사들이 보상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은 낮아 일반 보험사들은 계속해서 재정적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美 전 연방재난관리청장 “FEMA 폐지는 ‘극심한 재앙’ 불러올 것”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재난관리청(FEMA) 폐지를 주장하는 가운데 FEMA 청장 대행이었던 카메론 해밀턴이 그 주장에 반대해왔다고 밝혔다. 해밀턴은 최근 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FEMA 폐지가 미국 국민을 극심한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며, 점진적인 개혁과 책임 축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해밀턴의 이같은 발언은 트럼프 정부의 '정부 조직 규모 축소' 기조와 맞물려 논란이 되고 있다. 트럼프는 FEMA를 관료주의와 느린 대응 속도로 비판해 왔으며,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2400명 이상의 직원이 일자리를 잃으며 조직 운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블룸버그는 향후 FEMA의 조직 개편과 기능 축소에 대한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미국의 재난 대응 시스템 전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넷플릭스, 美 산림재단과 탄소배출권 구매계약 체결
미국 산림재단(AFF)이 넷플릭스와 탄소배출권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넷플릭스는 AFF의 'Fields & Forests(F&F)' 프로젝트에서 생산되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며, 이 프로젝트는 미국 남부의 활용도가 낮은 농지를 산림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높은 초기 비용과 복잡한 절차로 인해 탄소 시장 진입이 어려웠던 소규모 토지 소유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넷플릭스의 투자는 초기 자금을 지원하고 프로젝트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업과 자연 보호 단체가 협력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