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가나·페루·파라과이서 국제 탄소크레딧 200만톤 확보
'22년 국가 배출량 4% 규모... 7640만 싱가포르달러 투입 REDD+ 및 목초지 재조림, 토양 탄소 격리 사업 선정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싱가포르가 가나와 페루, 파라과이에서 추진되는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통해 파리협정 6조에 따른 탄소크레딧 200만톤을 확보했다.
싱가포르 국가기후변화사무국(NCCS)과 통상산업부(MTI)는 지난 16일 3개국과 이같은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국은 이들 국가에서 추진되는 네 개 프로젝트로부터 생성되는 217만 5000톤의 자연기반 탄소크레딧을 활용해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하겠다고 밝혔다.
현지언론 더스트레이츠타임즈에 따르면 이는 국가 차원에서 최초로 확보한 국제 탄소크레딧으로, 정부는 7640만 싱가포르달러(약 826억원)를 투입한다. 확보된 크레딧은 2022년 기준 국가 배출량의 약 4%를 상쇄할 수 있는 규모다.
선정된 프로젝트로는 페루의 삼림을 보호하고 삼림 파괴를 방지하는 레드플러스(REDD+) 사업 두 건과 가나의 황폐화된 목초지 재조림 사업, 파라과이의 초원에 지속 가능한 관리 방식으로 토양에 탄소를 격리하는 사업이 선정됐다.
'30년까지 국가 배출량 6000만톤으로 감축 목표
싱가포르는 지난해 9월부터 국외 감축 사업에 대한 각국의 제안요청서(RFP)를 받아 고품질의 자연기반 탄소크레딧을 생성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해왔다.
싱가포르 기후변화사무국은 좁은 국토 면적상 독자적으로 탈탄소화를 달성하기엔 한계가 있다면서 “파리협정 제6조에 따른 탄소크레딧 활용은 싱가포르와 같은 국가들이 다른 모든 가능한 경로를 추진하면서도 탈탄소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보완 수단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열린 제29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국제탄소시장 개설을 위한 파리협정 6.4조와 국가간 국제감축 협력 사업을 위한 6.2조의 기술지침에 대한 협상이 타결되면서 국외 온실가스 감축사업이 본격적인 이행국면에 들어섰다.
싱가포르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30년 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정점에 달하도록 한 뒤, 탄소 배출량을 6000만톤(MtCO2e)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NDC)를 수립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고품질 탄소크레딧을 활용해 연간 약 251만 톤의 배출량을 상쇄해야 한다고 당국은 추산한 바 있다.
싱가포르는 현재까지 국외 감축 실적을 탄소크레딧 구매를 통해 자국으로 이전하기 위한 협정을 이번 3개국과 함께 파푸아뉴기니, 부탄, 칠레, 르완다, 태국과 더불어 가장 최근인 지난 16일 협정을 체결한 베트남까지 총 9개국과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