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브리핑] 지구 대기 CO₂농도 사상최고…“관측이래 최대 증가폭”

35개국 재무장관, 연간 1.3조불 기후금융 확대 제안…COP30 앞두고 발표 ADB·세계은행, 아세안 전력망 구축 위한 공동 금융 이니셔티브 출범 미 몬태나주 법원, 청소년단체의 트럼프 정부 상대 기후소송 기각 싱가포르, SAF 구매 확대 위해 출발 항공편에 세금 부과 글래스루이스, '27년부터 '벤치마크 투표 권고' 중단…미 공화당 압박 영향

2025-10-16     김현경 기자
독일 동부의 한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없음. AP=연합뉴스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사상 최고치…WMO “관측 이래 최대 증가폭”

세계기상기구(WMO)는 전 세계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 농도가 관측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구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극단적 기후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4년 사이 전 세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가 3.5ppm 증가했다. 지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평균 증가세는 2.4ppm로, 이는 1957년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사상 최대 폭의 증가세다. 이번 결과는 내달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를 앞두고 공개됐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op/co2-levels-hit-highest-ever-recorded-wmo-says-warning-more-extreme-weather-2025-10-15/

35개국 재무장관, 연간 1.3조 달러 기후금융 확대 제안…COP30 앞두고 발표

35개국 재무장관들이 전 세계 기후금융 규모를 연간 1조3000억 달러(약 1849조원)로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15일 제시했다. 이는 내달 브라질 벨렘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30)를 앞두고 개도국이 요구해온 핵심 의제 중 하나다.

브라질이 주도한 이들 재무장관 그룹은 첫 번째 공동 보고서를 통해 신용등급 평가, 보험요율, 개발은행의 대출 우선순위 등 금융 시스템 전반의 구조 개편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각국 정부와 금융 기관이 기후변화 대응 자금 규모를 확대하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마련됐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op/brazil-readies-cop30-climate-talks-finance-ministers-offer-plan-13-trillion-2025-10-15/

ADB·세계은행, 아세안 전력망 구축 위한 공동 금융 이니셔티브 출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세계은행(World Bank)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역내 국가 전력망 개발 및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아세안 전력망(APG) 금융 이니셔티브’를 출범했다고 말레이시아 국영 통신사 베르나마가 15일 보도했다.

ADB 빈프리트 F. 빅라인 동남아개발국장은 ADB가 이번 이니셔티브를 통해 아세안 국가들의 전력망 연계 및 청정에너지 프로젝트에 100억 달러(약 14조 2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adb-world-bank-launch-asean-power-grid-financing-programme-report-says-2025-10-15/

미 몬태나주 법원, 청소년단체의 트럼프 정부 상대 기후소송 기각

미국 몬태나주 연방지방법원은 15일 청소년 환경단체가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친화석연료 정책을 막기 위해 제기한 소송을 기각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원고 청소년들이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인해 실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입증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에 기후 규제 전반을 감독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사법부의 권한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비영리단체 아워칠드런즈트러스트(Our Children’s Trust) 소속 청소년 22명은 지난 5월, 트럼프 정부의 화석연료 산업 확대 행정명령이 생명권 등을 침해하는 위헌적 조치라며 소송을 제기하고, 해당 명령의 시행을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단체 측 변호인은 이번 판결에 대해 항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s://www.reuters.com/legal/litigation/us-judge-dismisses-youth-activists-lawsuit-challenging-trumps-pro-fossil-fuel-2025-10-15/

싱가포르, SAF 구매 확대 위해 출발 항공편에 세금 부과

싱가포르 의회가 14일 자국 출발 항공편에 지속가능항공유(SAF) 확대를 위한 세금(Levy)을 부과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해당 세금은 싱가포르 민간항공청(Civil Aviation Authority of Singapore)에 납부되며, 항공청은 이를 활용해 SAF 구매와 관리를 맡게 된다.

싱가포르는 2026년까지 SAF 혼합급유 비율을 1% 이상, 2030년까지 3~5%로 확대할 계획이다. 항공권 가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비용은 모든 항공편 이용객에게 분담되며, 이코노미석 기준 직항편 승객의 SAF 부담금은 거리별로 약 3~16싱가포르달러(약 3300원~1만7500원)로 추정된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10-15/singapore-to-impose-green-aviation-fuel-levy-on-flights?srnd=phx-green

글래스루이스, '27년부터 '벤치마크 투표 권고' 중단…미 공화당 압박 영향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 글래스루이스(Glass Lewis)가 2027년부터 기존의 일률적인 ‘벤치마크 투표 권고’ 제공을 중단하고, 고객 맞춤형 새로운 투표 옵션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회사는 성명을 통해 이번 결정이 미국과 유럽 투자자 간에 수탁자 의무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또한 글래스루이스는 이러한 변화가 최근 미국 공화당 정치권을 중심으로 제기된 ESG 관련 비판과 이에 따른 지정학적 압력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덧붙였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proxy-adviser-glass-lewis-end-benchmark-vote-recommendations-2027-2025-10-14/

미 캘리포니아 뉴섬 주지사, 항만 대기오염 규제권 제한 법안 거부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이 로스앤젤레스와 롱비치 항만을 포함한 미국 최대 항만 단지의 대기오염 규제 권한을 제한하는 법안을 거부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지역은 캘리포니아 내 최대의 지역 대기오염 발생원으로 꼽힌다.

거부된 법안(SB 34)은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리버사이드, 샌버나디노 카운티를 관할하는 남부해안대기관리국(SCAQMD)이 화물 처리량이나 크루즈선 승객 수 등에 상한선을 두는 조치를 추진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뉴섬 주지사는 “연방 정부가 주·지방의 대기·기후 오염 저감 노력을 약화시키는 상황에서, 우리는 기존 수단을 유지하고 협력적 대응을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https://www.reuters.com/legal/litigation/california-governor-vetoes-bill-that-would-have-limited-air-quality-regulation-2025-10-15/

인도네시아, 4년 만에 국제 탄소배출권 거래 재개

인도네시아의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이 4년간 중단됐던 국제 탄소배출권 거래를 재개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5일 보도했다. 인도네시아는 2021년 자발적 탄소시장보다 규제 시장에 초점을 맞춘 규정을 제정했으나, 이후 감축 실적을 해외에 판매하기보다 자국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우선순위를 두기 위해 거래를 중단해 왔다.

탄소 가격이 지나치게 낮고 판매국이 시장의 혜택을 제대로 얻지 못한다는 우려도 중단 배경으로 작용했다. 이번 대통령령은 인도네시아 국가 기준 또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등 국제 인증기관의 기준에 따라 탄소 배출권의 국제 거래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중단 이전까지 REDD+ 산림복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세계 주요 배출권 공급국 중 하나였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indonesia-allows-resumption-international-carbon-trade-after-four-years-20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