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브리핑] 경기도 전국 첫 '기후보험' 반년 만에 2만건 넘어

기후부, 지속가능기업혁신 토론회 개최…녹색산업·AI 해법 논의

2025-10-20     김현경 기자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9일 대구 한 공사장 인근에서 인부가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전국 첫 도입 '기후보험' 반년 만에 2만건 넘어

경기도가 전국 처음으로 도입한 기후보험이 반년 만에 지급건수 2만건을 넘어섰다.

지난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4월 11일 기후보험을 시행한 이후 이달 15일까지 모두 2만3650건을 지급했다. 지급된 보험금은 5억4264만원에 달한다.

유형별로 보면 취약계층 의료기관 교통비가 2만288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온열질환 진단비 588건, 감염병 진단비 116건, 기후재해 사고위로금 41건, 온열질환 입원비 23건 등의 순이었다. 월별로는 5월 8건, 6월 14건, 7월 189건, 8월 7176건, 9월 1만3818건, 10월 1~15일 2445건 등이다.

기후보험은 폭염·한파 등 기후로 인해 온열·한랭질환 등 피해를 본 도민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모든 도민을 대상으로 별도 가입 절차 없이 ▲온열질환·한랭질환 진단비(연 1회 10만원) ▲ 특정 감염병 진단비(사고당 10만원) ▲기상특보 관련 4주 이상 상해 시 사고위로금(사고당 30만원) ▲취약계층 의료기관 방문 교통비(하루 2만원) 등을 정액 지원한다.

특정 감염병에는 말라리아, 댕기열, 웨스트나일열, 쯔쯔가무시증, 라임병, 일본뇌염, 중증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 비브리오 패혈증 등이 포함된다.

기후부, 지속가능기업혁신 토론회 개최…녹색산업·AI 해법 논의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는 16일 서울 강남구 소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제7회 지속가능기업혁신 토론회’를 개최했다.

2019년부터 시작된 이 행사는 매년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여 민간과 정부가 창의적 해법을 논의하고 있다.

올해 행사는 전 세계적으로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기후·환경 통상규범’이 이끄는 새로운 통상질서가 국가 안보와 경제주권을 좌우하는 중대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국제 통상질서 시대의 녹색산업 전환과 인공지능(AI) 해법’을 주제로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금한승 기후에너지환경부 차관, 이경호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회장, 허동수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명예회장, 우고 아스투토 주한 유럽연합 대사,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을 비롯해 국내외 기업 대표, 국제기구 관계자, 주한외국공관 대사 등 400여 명이 참여했다.

토론회는 3부로 구성되어, 1부에서는 허명수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명예회장과 피터 바커 세계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 최고경영자가 인공지능 기반 녹색산업 초격차 확보를 위한 민관협력 방안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경영의 중요성을 공유했다.

2부에서는 서영태 기후에너지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이 탈탄소 문명 선도를 위한 정책방향을 소개하고, 명노현 엘에스 부회장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효율적 전력·에너지 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이 배터리 소재와 수소 에너지 등 고부가가치 청정산업 전환을 위한 혁신 전략을 공유했다.

3부에서는 이현준 쌍용씨앤이 사장이 사회를 맡아 이희근 포스코 사장, 양영준 김앤장 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 이몬 펜윅 에스에이피 부사장과 함께 우리나라 산업 및 에너지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 확보와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융합을 위한 국가 산업 전략을 비롯해 규제 혁신 및 국제사회 협력방안 등을 주제로 특별 대담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