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 약속 잘 지켜지나? 재생에너지 3배 확대는 ‘달성’ 유력
2030년까지 11TW까지 확대 목표…BNEF “10.3TW까지 도달 가능” 탈화석연료 전환 갈길멀어…NDC에 석유·가스 생산 감축 포함한 국가 없어 2030년까지 메탄 30% 감축 목표…여전히 메탄 유출 끊이지 않아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오는 10일부터 21일까지 브라질 벨렘에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는 가운데 이전 총회에서 합의된 글로벌 서약들의 이행 여부와 달성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30년까지 11TW까지 확대 목표…BNEF “10.3TW까지 도달 가능”
지난 COP28에서 약 200여개국이 서명한 재생에너지 3배 확대 서약은 목표 달성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 9월 2030년까지 전세계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로 늘린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IEA는 보고서에서 “유리한 경제 상황, 풍부한 제조 잠재력, 강력한 정책 덕분에 (재생에너지 3배 확대 목표를) 달성 가능하다"고 밝혔다.
IEA는 또한 “선진국들은 2030년까지 전세계 에너지 소비에서 전기의 비중을 30%까지 끌어올리고 효율성을 두 배로 높이는 전기화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로 늘리고 전력 사용을 줄이기 위한 에너지 효율 조치를 2배로 늘리면 10년 안에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상치보다 100억 톤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IEA 보고서와 함께 발표된 블룸버그NEF(BNEF)의 전망에 따르면, 전세계는 2030년까지 10.3테라와트(TW)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서약에서 목표한 11TW에는 약간 못미치는 수치다.
IEA가 현재 정책과 비용 추세를 기반으로 예측한 발전 경로에 따르면, 전세계는 2030년까지 9.5테라와트(TW)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재생에너지 인허가, 금융, 전력망 연계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이루어진다면, 그 총량은 최소 10.4TW까지 늘어날 수 있다.
이같은 전망 아래 블룸버그는 “태양광과 풍력의 추가 설치를 급격하게 둔화시킬 위험이 있는 미국의 국내 정책 변화와 전력 가격 체계를 시장기반으로 전환하려는 중국의 움직임이 전세계 재생에너지 확장 속도를 약화시킬 수 있는 두가지 큰 과제”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화석연료 단계적 전환 갈길멀어…NDC에 석유·가스 생산 감축 포함한 국가 없어
지난 COP28에서 당사국들은 “과학에 부합하는 2050년 넷제로 달성을 위해 에너지 시스템에서 화석연료를 공정하고 질서 있고 공평한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에 합의한 바 있다. COP28 UAE 선언문(UAE Consensus)은 COP 역사상 최초로 ‘fossil fuels(화석연료)’이라는 단어를 공식 합의문 본문에 포함한 “역사적” 합의로 평가받으며, “전 세계가 탈화석연료 전환 필요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은” 최초의 사례로 꼽힌다.
그러나 2년이 지난 지금 탈화석연료로의 단계적 전환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지난 4일 COP28 이후 새로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제출한 60여개국 중 어느 나라도 석유·가스 생산 감축이나 비효율적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 목표를 제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나마 석탄의 단계적 감축 목표를 설정한 국가는 3분의 1도 채 되지 않으며, 제출국 중 62%는 전력 믹스에서 화석연료 비중을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고 UNEP는 설명했다.
UNEP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각국이 COP28에서 “화석연료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전환”한다는 약속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의 근본 원인인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실질적 조치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유엔은 현재 추세라면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 한계를 곧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IEA에 따르면, 미국은 올해 상반기 석탄화력 발전과 재생에너지 발전 모두 증가했으며, 유럽연합(EU)에서는 태양광, 석탄, 가스 발전 모두 증가한 반면 수력과 풍력발전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30년까지 메탄 30% 감축 목표…여전히 메탄 유출 끊이지 않아
지난 2021년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에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최소 30% 감축한다는 내용의 글로벌 메탄서약(Global Methane Pledge, 이하 GMP)이 체결됐다. 이는 공식 UNFCCC 합의문은 아니지만 미국, EU 회원국, 한국, 일본, 캐나다, 브라질 등 150여 개국이 서명한 자발적 국제 이니셔티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이후 UN 산하 국제메탄배출관측소(IMEO)는 IMEO의 메탄 누출 경보 조치가 실제 배출 감소 조치로 이어진 사례 19건 확인했다. IMEO는 유엔 산하 기구로 위성·항공·지상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전 세계 메탄 누출(배출)을 실시간 감시한다. 특히 석유·가스·석탄 시설에서 ‘비의도적 누출’을 포착하는 데 초점을 둔다.
IMEO는 위성으로 감지된 아르헨티나, 투르크메니스탄, 이라크 등의 메탄 유출이 경보 조치 이후 중단됐다고 밝혔다. IMEO는 메탄 유출 경보 시스템에 대한 대응률이 지난 1년간 1%에서 12%로 상승했지만, 수백 건에 달하는 대다수의 경보는 여전히 무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IEA는 “GMP가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지만, 동시에 “이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다. GMP 가입국이 현재까지 인류 유래 메탄배출의 약 45%정도만을 대표하고 있으며, 주요한 메탄 배출국인 중국, 인도, 러시아 등이 아직 참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IEA는 또한 GMP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메탄 감축 정책‧기술‧기준·모니터링이 매우 강화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IEA는 상위 배출국의 참여 확대, 투명한 데이터·실행체계 구축, 부문별 난제 해소, 재정·시장 메커니즘 활성화 등이 선행되어야 목표치를 달성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COP26에서는 2040년까지 모든 신규 자동차 및 밴 판매를 무공해 차량으로 전환하고, 선도 시장에서는 2035년을 넘지 않도록 한다는 ‘무공해차 선언(Glasgow Declaration on Zero-Emission Cars and Vans)’이 발표되기도 했다. 전기차 전환을 “각 국가가 아닌 전 세계적 방향”으로 명문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중국, 미국 연방정부, 한국, 일본, 독일 등 주요 자동차 제조국들이 서명에 불참했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전세계 각국에서 전기차가 확대되고는 있지만 2040년까지 모든 신차를 무공해 차량으로 전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BNEF 분석가들은 지난 6월 보고서에서, 정책입안자들이 저탄소 기술에 대한 새로운 재정 지원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전기차가 2035년 신규 승용차 판매의 56%, 2040년에는 70%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