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브리핑] 생활밀접업종 안전위험 집중점검...반복 재해요인 개선
중대재해 감축 위해 노동부·지자체 맞손...상시 협업체계 구축 생물자원관, 해외 유용생물자원 특허 기업 이전
생활밀접업종 안전위험요인 집중점검…반복·상시 재해요인 개선
고용노동부는 도소매업 및 소비자용품 수리업, 건물종합관리업,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 등 생활밀접 업종을 대상으로 18일까지 '제2차 시기별 안전위험요인 집중점검주간'을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집중점검주간은 간단한 안전조치를 실시하지 않아 추락·부딪힘·끼임 등 사고가 빈발하는 업종의 특성을 고려해 반복·상시 재해 요인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먼저 추락·끼임·부딪힘·화재 및 폭발·질식 등 5대 중대재해 위험 요인과 관련해 개인보호구 지급, 근로자 안전 통로 마련, 보수 작업 시 전원 차단, 적재·하역 작업 시 조치 등 안전 수칙 준수 여부를 불시에 점검한다.
전국 지방노동관서 기관장이 직접 현장 점검에 나서고, 지방정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민간재해예방기관, 관련 협회 등과 연계해 홍보·예방 활동을 추진한다.
노동부는 이번 집중점검주간을 통해 비제조 서비스업의 안전 문화를 강화하고, 반복되는 중대재해를 구조적으로 예방할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중대재해 감축 위해 노동부·지자체 맞손…상시 협업체계 구축
지속해 발생하는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해 고용노동부가 11일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15개 광역시·도 산업안전 담당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노동부는 최근 발표한 지붕공사 추락사고 감축 방안, 지방 발주공사 중대재해 현황 등을 공유하고 협조를 당부했다. 또한 지역 중대재해 사각지대 해소 지원 사업 등 내년에 추진 예정인 사업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각 시도는 지역 단위로 추진해 온 특화 산업재해 예방 활동 사례와 취약 분야 관리 방안 등을 공유했다. 특히 노동안전지킴이 현장 점검, 소규모 사업장 위험성 평가 등 컨설팅 지원, 작업환경 유해 위험 요인 개선 등 지역 실정에 맞춘 노력을 전달했다.
노동부와 각 시도는 향후 상시 협업 체계 구축, 정보 공유 강화, 지역별 합동 점검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생물자원관, 해외 유용생물자원 특허 기업 이전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해외생물자원으로부터 발굴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항비만, 악취 저감 등 3건의 특허 기술을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축산환경 분야의 4개 전문기업에 이전하는 통상실시권 계약을 13일 인천 서구 소재 관내 생생채움관에서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전 대상 특허 3건은 국립생물자원관이 캄보디아 야생식물 3종에 찾아낸 항비만 효능이 우수한 테트라세라 로우레이리(Tetracera loureiri),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이 우수한 카레야 아르보레아(Careya arborea), 악취 저감 효능이 우수한 크로톤 포일라네이(Croton poilanei)와 관련된 기술들이다.
먼저 테트라세라 로우레이리에서 분리한 항비만 효능물질 기술을 이전받는 조아파마는 항비만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이 있는 카레야 아르보레아 추출물 기술을 이전받는 뉴셀팜은 관련 천연 추출물로 아토피 개선 크림을 개발할 예정이다.
높이 10m까지 자라는 열대식물 크로톤 포일라네이의 탁월한 악취저감 효능 기술을 이전받는 파마코바이오와 이엠에스는 관련 기술을 활용해 반려동물용 탈취샴푸, 축산농가용 환경개선제를 각각 개발한다.
한편 2014년 나고야의정서 발효 이후 국내 산업계는 정부 차원의 해외 생물 소재 발굴 및 활용 관련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나고야의정서는 해외 유전자원을 취득할 때 제공국의 승인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이익을 유전자원 제공국과 공정하게 공유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협약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이후 국제사회와 생물자원 발굴 활용을 위한 협력을 강화했으며, 2015년부터는 우호적 관계를 형성한 탄자니아 등 10개 국가에서 유용 생물자원을 발굴해 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