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가스 감축 합의국 30개국 넘어...한국도 참여 검토
탄소중립위 관계자, 한국도 "고려할 상황"
[ESG경제=이신형기자] 캐나다와 나이지리아, 일본, 파키스탄 등 30개국 이상이 미국과 유럽연합(EU)의 메탄가스 감축 합의에 동참하기로 했다고 존 케리 미국 기후변화 특사가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들 나라 중에는 20개 메탄가스 최다 배출국 중 9개국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최다 메탄가스 배출국인 중국과 인도, 러시아, 브라질은 아직 동참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은 지난달 18~19일 열린 주요 경제국 포럼에서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와 함께 대표적인 온실가스로 꼽히는 메탄가스 발생량을 30% 감축하는 내용의 ‘메탄서약’에 합의하는 한편 다음 달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열리기 전에 다른 나라도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CNN의 보도에 따르면 존 케리 특사는 온라인으로 열린 프란스 티머만 유럽연합 집행부위원장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히고 “(메탄가스 감축 참여 의사를 밝힌 나라는) 세계 경제에서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과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현재까지 동참 의사를 밝힌 나라는 미국과 유럽연합, 캐나다,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멕시코, 스웨덴, 나이지리아, 아르헨티나, 이라크, 일본, 요르단, 키르기스탄, 나이지리아, 필리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콩고, 파키스탄 등이다.
참가국이 24개국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참가국이 점차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무조정실 2050 탄소중립위원회 사무처의 한 관계자는 ESG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우리나라도 고려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왜 메탄인가?
과학자들은 메탄 발생을 줄이는 게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말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메탄은 수백 년간 대기 중에 남아 있는 이산화탄소보다 대기 중에 머무는 시간은 짧지만, 이산화탄소보다 온난화 유발 효과는 80배 이상 더 큰 기체다. 메탄은 20년 이상 대기 중에 머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존 케리 특사를 비롯해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단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과제로 전 세계가 메탄가스 배출 억제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현재까지 지구온난화의 약 30% 정도는 메탄가스 탓으로 분석했다.
메탄은 가정에서 난방이나 취사용을 널리 사용하는 천연가스의 주요 성분 중 하나다. 활화산이나 축산업, 석유와 가스, 석탄 생산 시설 등에서도 발생한다.
CNN에 따르면 대기 중 메탄 농도는 2000년대 초 잠시 하락한 후 지난 10년간 급상승했다. 지난 2020년 메탄농도는 1984년에 비해 14.3% 상승했다.
석탄이나 석유를 대체하는 연료로 천연가스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메탄 발생량도 급증했다.
지난 주 발간된 IEA 보고서는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발생량을 75%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하면서 석유와 가스, 석탄 사용을 줄이면 즉각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석 연료 사용을 통해 지난해 1억2000만 미터톤의 메탄이 발생했고 이는 전체 메탄 배출량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IEA는 “이런 배출량의 대부분은 생산 과정이나 공급망에서 사업자가 포집하거나 배출을 억제하지 못해 유출되는 것”이라며 “이런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있고 특히 석유가 가스 분야에서 그렇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