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B 지속가능성 공시 핵심은 '전략'...GRI 사용 기업 전환 필요"

"GRI기준 전략 관련 공시 요구 제한적"

2025-11-19     이신형 기자
대주회계버인 손기원 부대표가 11월18일 열린 ESG경제 창간 5주년 포럼에서 발제하고 있다.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ESG 공시)기준과 유럽연합의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따라서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 기준으로 지속가능성 공시에 나섰던 기업은 공시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손기원 대주회계법인 부대표는 18일 ESG경제 창간 5주년 포럼에서 발제하면서 "지금까지 대부분 한국 기업이 준용해온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기준은 전략 관련 공시 요구가 매우 제한적"이라며 "최고 경영진의 역할과 지속가능성 전략에 대한 진술 수준에 그쳐 전환 계획이나, 회복력 분석, 재무적 영향 등" 전략의 주요 내용 공시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ISSB와 ESRS 기준에서는 탈탄소 전환 전략과 기후 회복력, 기후 변화가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인 영향 이런 게 중요"하다며 "따라서 GRI 공시 기업은 투자자 등 정보 이용자의 신뢰를 얻고 의무공시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 기반 공시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손 부대표는 말했다.

ISSB와 ESRS 기준은 공시 주제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기본적인 틀은 거버넌스와 전략, 위험 관리, 목표 및 지표이 4개 영역으로 구성돼 있다.

손 부대표는 이들 기준에서 "거버넌스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위한 거버넌스를 뜻하고,  기후변화가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인 위험과 기회 또는 임팩트 위험과 기회 관리는 모두 다 전략과 관계된 것"이라며 "지표와 목표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손 부대표는 ISSB와 ESRS 공시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어떤 정보가 공시해야 할 중요한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중요성 판단 ▲중요한 사안을 전략과 사업 모형에 반영하는 전력 수립 및 통합 ▲구체적인 조치와 성과 지향형 목표를 포함한 ESG 정책과 목표 설정▲ ESG 성과 관리 및 측정 ▲ISSB나 ESRS 기준에 부합하는 명확하고 일관된 공시의 5단계 방안이다.

[표] 5단계 지속가능성 공시 전략 수립

자료=손기원 대주회계법인 부대표

손 부대표는 글로벌 선도기업들은 전략과 핵심성과지표(KPI) 공시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며 이때 KPI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성과를 대외적으로 투명하게 공시하는 지표인 동시에 내부적으로 전략 시행의 관리 도구 역할을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단순히 평가 대응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적인 경영관리 도구”라는 얘기다.

KPI 설계에서도 손 부대표는 중요성 평가KPI 후보군 도출, KPI 선정 및 목표 설정,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체계 구축, 성과 모니터링 및 공시의 5단계 절차를 제시했다.

[표] 지속가능성 KPI 설계 방법과 절차

자료=대주회계법인 손주원 부대표

손 부대표는 성공적인 KPI 설계를 위해 측정 가능한 지표부터 먼저 수집하고 점진적으로 수집 범위를 넓혀가는 게 효과적이라고 말하고 특히 ESRS기준이나 ISSB 기준을 적극적으로 참고해 KPI를 설계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TBi에 부합하는 감축 목표 설정해 국제적 정합성 확보해야

손 부대표에 따르면 KPI 중 환경영역에서 중장기 목표를 포함한 온실가스 감축 경로를 설정할 때 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STBi)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해 과학적 정합성과 국제적 정합성을 확보해야 한다.

목표 설정 방법은 먼저 SBTi의 부문별 지침을 참고해 스코프 1, 2, 3 배출량을 정의한 후 목표 달성 기한을 설정한다. 이어 GHG 프로토콜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목표의 과학적 정합성과 실현 가능성을 검토해 SBTi의 승인을 받는다.

[표] 과학기반감축목표 설정 방법

단계 내용
(1) 배출 범위 정의 - SBTi 부문별 지침을 참고하여 Scope 1·2·3 배출 범위를 정의
(2) 기준년도 및 목표연도 설정 - 기준년도(Base year) 선정- 목표 달성 기한 설정(예: 2030, 2050 등)
(3) 배출량 산정 및 감축목표 설정 - GHG 프로토콜에 따라 현행 배출량 계산- 1.5℃ 목표와 정합되도록 절대적 또는 집약도 기준 감축목표 수립
(4) 목표 검증 및 승인 - 목표의 과학적 정합성·실현 가능성 검토- SBTi에 목표 제출 및 승인 획득

자료=대주회계법인 손주원 부대표

[표] 과학기반 감축목표 설정 SBTi 지침 

구분 설명
Getting Started Guide for Science-Based Target Setting (v1.1, 2024.3) - 단기(Corporate Near-Term Criteria) 및 장기(Corporate Net-Zero Standard) SBT 수립을 위한 기본 안내서
Procedure for Validation of SBTi Targets - SBTi 감축목표 검증 절차 및 요구사항을 상세 규정
부문별 가이던스(Sector-specific Guidance) - 산업별 배출 특성과 감축 경로를 반영한 세부 기준 제공
SBTi Glossary - SBT 관련 용어 정의 및 개념 정리

자료=대주회계법인 손주원 부표

손 부대표는 필립스와 SAP, 슈나이더 일렉트릭, 지멘스의 공시를 국내 기업이 벤치마크할 수 있는 모범적인 사례로 제시했다.

자료=대주회계법인 손주원 부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