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자발적 기후행동 촉진 제도 도입 필요...호주 사례 모범적”

정재훈 호주 쿤즈랜대대 교수 ES경제 포럼서 제언 호주 클라이밋 액티브 성과..."탄소 문해력 촉진도 필요"

2025-11-19     이신형 기자
정재훈 호주 퀸즈랜드대학 교수가 11월18일 열린 ESG경제 창간 5주년 포럼에서 발제하고 있다.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기업의 자발적인 기후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호주가 시행하는 ‘클라이밋 액티브(Climate Active)’와 같은 제도의 도입이 국내에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클라이밋 액티브는 탄소중립을 달성한 기업을 호주 정부가 인증하는 프로그램으로 인증을 받으려는 기업 등은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배출량 감축과 상쇄를 통한 탄소중립 달성을 검증받아야 한다. 인증 대상은 기업이나 조직뿐 아니라 제품이나 서비스, 이벤트, 건물 등도 포함된다.

호주 퀸즈랜드대학의 정재훈 교수는 18일 열린 ESG경제 창간 5주년 포럼에서 '호주의 탄소중립 생활화가 한국 ESG 비즈니스에 주는 함의'를 주제로 발제하면서 이같이 제언했다. 정 교수는 호주에서는 인증 후 기업이나 조직이 획득하는 “이 클라이밋 액티브라는 로고가 굉장히 중요하다”며 “이런 게 하나의 사회적 시스템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클라이밋 액티브를 통해 호주의 유명 대기업들과 중견기업, NGO, 지방 정부와 비영리 단체 등이 인증을 받았다"며 "인증을 받으면 저탄소 경제에 대한 적응력을 확보하고 인재 유치와 탄소중립 공급망 진입, 이해관계자의 기대 충족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개인의 자발적인 기후행동을 위한 제도 도입도 필요하다며 호주의 탄소 문해력 프로젝트(Carbon Literacy Project)를 소개했다.

이 프로젝트는 탄소 배출 비용과 탄소 배출이 개인의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제고와 개인과 지역사회의 탄소 감축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재 1만3024개 기관의 14만3967명이 참여하고 있다.

정 교수는 호주에서는 대학에서도 탄소 문해력 교육을 교과과정에 반영해야 한다고 전했다.

호주는 최근 2035년까지 2005년 대비 온실가스 62~70% 감축이라는 ‘세계적 수준’의 목표치를 추가로 발표했다. 특히 전력, 자원(광물), 산업, 교통, 농업 등 6대 부문별로 세부 감축 전략(섹터 플랜)을 추진 중이다.

정 교수는 "호주의 탄소 배출 감소는 정부의 정책, 기업 노력, 시민 참여가 삼위일체를 이루며, 이미 2025년 기준 29% 감축(2005년 대비)에 성공, 2030년까지 43% 감축 목표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생활밀착형 탄소중립 실천 모델...한국에 주는 함의

정 교수에 따르면 호주는 정부가 주도하는 ‘Australian Carbon Credit Unit(ACCU)’ 제도, 민간 중심의 ‘Carbon Market Institute’ 등이 활발하게 작동하며, 정부·기업·개인이 탄소배출권 거래, 탄소 흡수(탄소 농장·산불 예방사업 등), 프로젝트별 생태계 복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탄소중립화가 생활 인프라·비즈니스·지역 경제 전반에 깊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호주의 사례가 한국 ESG 비즈니스에 주는 함의를 정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먼저 투명성 확대로 호주식 탄소배출량 전 과정 공개, 독립적 검증, 시민 및 투자자 대상 신뢰 확보 전략(ESG 경영 신뢰도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행동 중심 전환으로 단순 인증·보고를 넘어 사업장·일상 등 구체적 행동 변화(기후교육 의무화, 탄소저감 행동 서약 등)를 ESG 대상기업·임직원에게 전파해야 한다.

셋째, 시장·생태계 확장으로 정부와 민간·시민이 협력하는 탄소시장 모델, 지역사회 중심 탄소저감 프로젝트 등 실질적 인센티브 구조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뒷받침이다. 차별화된 국가표준 ESG 인증, 탄소공개·감축기업 세제·금융 인센티브 확대, 탄소중립형 신기술 투자 촉진 등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정 교수는 "한국은 그간 ‘공시와 보고’ 중심의 ESG에 머물러 있었으나, 이제는 호주와 같이 생활밀착형 실천, 행동 변화, 사회적 신뢰 확보를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