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태양광 대미 수출 급감...중국산 부품 사용 '불똥’ 튀어

대미 수출 비중 90% 이상 인도, 9월 모듈 수출 역대 최저 중국산 셀 사용 적발·관세 부담에 공급 과잉 심화 생산기반 셀·잉곳 중심 재편

2025-11-25     김제원 기자
인도 구자라트주 태양광 발전소.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제원 기자] 인도의 태양광 모듈 대미 수출액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이는 미국의 무역 조치에 대한 여파로, 지난 9월 인도의 수출액은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인도 모듈 수출의 90% 이상을 차지한 미국이, 인도 상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고 인도 태양광 제품에 중국산 구성품이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에 따른 여파다.

올해 초 미 정부의 중국과의 무역 제한 규제로, 태양광 개발업체가 중국산 태양광 패널 대체제를 모색하면서 인도의 수출액이 급증했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미국은 10년 넘게 중국산 패널에 관세를 부과해왔다.인도 정부에 따르면 9월 인도의 태양광 모듈 수출액은 8000만 달러로, 지난 8월 1억 3400만 달러보다 감소했다. 

인도 태양광 제품 수출액. 그래프=IEEFA, JMK

美, 인도산 모듈에 고관세...중국산 셀 사용 정조준

미 관세국경보호청은 지난 9월 25일 인도 태양광 회사인 와리(Waaree)로부터의 수입 제품 일부에 대해 조사했다.

미 관세국경보호청은 와리가 반덤핑 및 관세 대상인 수입 제품 중 일부에 라벨을 붙이지 않았다고 의심했다. 이에 와리가 미국이 수년간 중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 태양전지와 패널에 대해 조사했다.

조사 과정에서 미국은 인도가 중국산 셀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로이터에 따르면, 조사 단체의 변호사인 팀 브라이트빌은 "인도 태양광 제품이 시장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대에 속하는 이유는, 중국산 셀을 사용하고 그에 적용되는 관세를 내지 않기 때문이라는 걸 알았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해당 조사 팀은 미 상무부에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에 수입되는 셀과 패널에 반덤핑 및 상계 관세 부과를 요청하기도 했다.

넘치는 생산 능력, '잉여' 태양광 설비 과잉으로 이어져

수출액의 감소와 더불어, 해외 수요 감소에 따른 인도 내 시장의 태양광 설비 공급 과잉 또한 우려스러운 점이다. 인도 태양광 모듈 산업에서 생산 능력이 모듈 설치량을 크게 웃돌기 때문이다.

인도 주요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ICRA에 따르면, 인도 정부가 승인한 태양광 모듈 제조 능력은 현재 약 110GW 수준이며, 2027년 3월까지 165GW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필요한 태양광 설비 규모는 제조 능력에 비해 작다. 인도가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간 44~45GW 규모의 태양광 설비가 필요하다. 

인도 업체, 모듈보다 셀·웨이퍼로 축 방향 전환

로이터에 따르면, 분석가들은 소규모 태양광 모듈 전문 기업의 통합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셀과 웨이퍼 등의 부품 생산 능력을 가진 통합 기업이 현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8월 전인도 태양광 산업 협회는 모듈 제조 프로젝트의 불가능성을 내다보고, 인도 은행 협회에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 중단을 촉구했다.

이에 일부 인도 기업은 모듈 대신 셀, 잉곳, 웨이퍼 라인을 추가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인도에 본사를 둔 태양광 모듈 제조업체인 솔렉스 에너지(Solex Energy)는 모듈 건설 계획 규모를 15GW에서 10GW로 축소했으며, 셀 생산은 5GW에서 10GW로 늘렸다.

비풀 샤 솔렉스 에너지 이사는 "모듈 생산 규모 축소는 과잉 생산 가능성을 줄이는 의도적인 결정이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