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기업승계·사회환원 위해 공익법인 주식규제 완화해 달라"

전경련 보고서 통해 재계 의견 전달, "공익법인 통해 ESG 강화" 한국의 상속·증여세 세계 최고 수준, 스웨덴은 2004년 폐지

2022-08-09     김도산 기자
서울 여의도 전경련 사옥.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ESG경제=김도산 기자] 기업의 원활한 상속·증여와 사회환원 촉진을 위해 공익법인에 대한 기업의 주식출연과 관련한 규제를 완화해 줄 것을 재계가 요구했다. 

유럽의 독일이나 스웨덴 처럼 기업의 창업주 가문이 보유 주식을 공익재단에 귀속시키는 방식을 상속·증여세 없이 경영권을 승계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얘기다. 대신 공익재단으로 들어간 배당금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적극적으로 쓰겠다는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9일 발표한 '기업승계 활성화를 위한 공익법인 상속세제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제안했다.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공익법인의 주식 취득 및 보유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으며, 공익법인이 발행주식 총수의 5%, 10%, 20%를 초과 취득하는 경우 각각 그 초과액을 증여세로 과세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8∼2021년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 공익법인 수는 제자리 상태일 뿐 아니라 공익법인의 계열회사 평균 지분율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제한 규정이 강화되면서 기업집단 공익법인의 활동이 위축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상속·증여세 완화하면 ESG경영 촉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강조되며 공익재단을 통해 지역사회나 국가가 당면한 사회적 과제를 발굴·해결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제한이 강화돼 기업의 주도적 역할 수행이 어렵다고 한경연은 밝혔다. 

국제 자선단체인 CAF가 발표한 '2021 세계기부지수'에 따르면 한국의의 기부참여지수는 22점으로 114개 조사국 중 110위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임동원 한경연 연구위원은 "기업집단 공익법인의 활동 축소는 공익사업의 축소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며 "공익실현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공익사업의 축소는 곧 사회적 비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또 공익재단에 대한 주식 출연, 차등의결권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경영권을 방어 또는 승계할 수 있는 주요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이러한 제도적 장치가 제한 또는 금지된 상황에서 공익법인에 대한 규제까지 가세하며 원활한 경영권 승계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대기업 투자 확대 및 성장이 이뤄져야 하는데 중소·중견기업의 상속에 대해서만 기업승계를 지원하고 대기업은 지원하지 않는 것은 큰 문제라고 한경연은 덧붙였다. 

임 연구위원은 "해외 대기업은 경영권 승계 시 합법적인 제도를 통해 상속세 부담을 낮추면서 경영권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경영권 방어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인법인에 대한 지배를 사실상 봉쇄하는 현행 제도가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바람직한지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 각국, 경쟁적으로 상속·증여세 내려...스웨덴은 폐지

한경연은 또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출연의 문제보다 출연된 주식으로 공익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방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일반 공익법인보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관련 공익법인이 재무적 여건이 양호하므로 공익목적사업에 대한 지출을 늘리려면 주식제한규정을 완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행 상속세제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관련 공익법인의 경우 5%에 대해서만 상속·증여세를 면제하고 있는데 이 비율을 미국과 같이 모든 공익법인에 대해 20%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거 상속·증여세가 최고 65%를 기록했던 스웨덴의 경우 지난 2004년 상속·증여세를 전격 폐지한 바 있다. 세수 비중은 1%가 안되는데, 기업활동의 위축에 따른 국민경제적 손실이 훨씬 크다는 판단에서였다. 

임 위원은 "기업승계 과정에서 과도하지 않은 부담을 지운다면 기업가의 의욕을 불러일으키고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며 "공익법인의 활발한 공익활동으로 사회환원이 이뤄진다면 공익법인은 정부가 세금으로 해야 할 공익사업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세제상 지원은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정부, "가업승계 관련 세제 개편"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는 최근 "법인세 최고세율을 인하하고 투자와 일자리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자본과 기술의 세대간 이전을 활성화하는 가업승계 관련 세제도 곧 개편하겠다"고 밝혀, 재계의 이번 건의도 검토 대상에 오를지 관심을 끈다.

한 총리는 지난달 20일 롯데호텔 제주에서 열린 2022 전경련 최고경영자(CEO) 제주하계포럼 개막식에 참석, 축사를 통해 "투자환경을 어렵게 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떨어트리는 세제와 노동·환경·교육 분야의 규제개혁부터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회의 절대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재벌개혁에 역행한다"며 상속ㆍ증여세 완화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법안이 국회를 통과되기는 쉽지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