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SB 설립해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 마련

내년 초 공식 출범, 중소중견 기업 지원 ESG 기준에 중점 초대 위원장에 김의형 회계기준원장, 위원 7명으로 구성

2022-12-15     이신형 기자
금융위원회가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마련하기로 하고 KSSB를 신설해 그 일을 맡기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이신형기자] 정부는 ESG 국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를 한국회계기준원 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KSSB는 내년 1분기에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15일 "KSSB는 국내에 적용할  ESG 공시기준을 검토해 정부에 제출하는 등 ESG 공시기준 제정을 지원하게 된다"며 “국제적 정합성과 국내 경제‧산업여건 등을 균형있게 고려해 국내 기업에 적용할 ESG 공시기준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내년 1분기 중 제정할 ESG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국제적 정합성을 갖추면서 국내 기업에 적합한 ESG 공시기준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은 대기업보다 중소ㆍ중견 기업을 위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의 이웅희 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으로 큰 대기업의 경우 ISSB 기준과 같은 글로벌 투자자 공시 기준을 따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수준에 이르지 못한 기업도 공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공시 항목을 줄이고 공시 난이도도 낮춘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면 KSSB의 ESG 공시 기준안에는 스코프3 공시 의무나 사업보고서를 통한 ESG 공시 의무를 면제하거나 유예기간을 적용하는 등의 내용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  기업의 모든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가 기업 가치에 미칠 영향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공시하도록 하는 일도 면제 또는 유예할 것으로 보인다.

KSSB가 기준안을 제시하면 정부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금융위는 내년 중 관계부처와 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한국ESG기준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쳐 국내 ESG 공시제도 전반에 대한 세부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ISSB의 ESG 공시 기준 논의  창구 역할도

KSSB는 ISSB의 공시기준 제정과 관련된 국제적인 논의에 대응하는 창구 기능도 하게 된다. 정부는 ISSB의 공식 자문기구인 SSAF(Sustainable Standards Advisory Forum)의 회원국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KSSB는 ISSB의 공시기준 초안에 대한 우리 측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KSSB는 ISSB 공시기준의 번역본을 배포하고 ESG 공시기준 적용의 모범사례를 알리는 등 국내 기업들의 ESG 공시활동도 지원할 예정이다.

KSSB는 금융감독당국과 재계, 학계 등에서 추천하는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초대 위원장은 김의형 회계기준원장이 맡기로 했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로부터 의견 수렴을 하고자 공식 자문기구인 지속가능성기준자문위원회도 내년 1월 중 확대 개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