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30년까지 태양광 발전 1테라와트ㆍ해상풍력 150기가와트로 확대

유진투자증권, "목표 달성하려면 태양광 3배, 해상풍력 7배로 확충해야" 석탄의 단계적 퇴출 원칙적 합의...이해 엇갈려 구체적 일정 합의는 불발

2023-04-19     이신형 기자

 

16일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G7 에너지 및 환경 장관회의에서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오른쪽 세번쨰)과 니시무라 아키히로 일본 환경상(왼쪽 세번쨰), 슈테피 렘케 독일 환경장관(오른쪽 두번쨰) 등이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EPA=지지통신=연합뉴스.

[ESG경제=이신형 기자]  주요 7개국(G7)이 천연가스 소비를 줄이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데 합의했다. 아울러 2030년까지 태양광 발전 능력을 1테라와트로, 해상풍력 발전 능력은 150기가와트로 확대하기로 했다.

G7은 화석연료 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2025년까지 중단한다는 약속을 재확인하는 한편 석탄의 단계적 퇴출과 탄소포집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석탄 화력발전소의 신축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석탄 퇴출 일정에 대한 합의는 없었다. 천연가스의 경우에도 소비는 줄이되 당분간 투자는 지속하기로 했다.

G7은 2035년까지 발전부문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지난해 약속한 바 있다. 이를 달성하려면 석탄 화력발전의 중단과 천연가스 발전량의 대대적인 감축이 필요하지만, 회원국 간 이해관계가 엇갈려 석탄 퇴출 일정을 잡지 못했다.

AP통신에 따르면 G7은 지난 주말 일본 삿포로에서 열린 환경 및 에너지 장관 회의가 끝난 후 발표한 36쪽 분량의 성명에서 “현재의 전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와 경제적 혼란을 인식하면서 늦어도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위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 한다는 약속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 “(G7 이외의) 다른 나라에 탄소포집기술을 사용하지 않는(unabated) 화력발전소 건설을 조속히 중단하고 공정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다른 나라와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생에너지 목표 제시 "중대한 의미"

G7이 2030년까지 성명을 통해 태양광과 해상풍력 발전량을 각각 1테라와트와 150기가와트로 늘리기로 약속한 것과 관련, 영국의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ebr)의 데이브 존스 에너지분석팀장은 “의미가 큰 성명”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런 목표가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일본에게) 자극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일본은 해상풍력 발전으로 발전부문의 탄소 배출을 빠르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G7 의장국인 일본은 석탄화력발전의 비중이 30%에 달하고 앞으로 최소 10~15년간 액화천연가스(LNG)를 에너지 전환기의 주요 연료로 사용할 계획이다. 일본은 2030년에도 전체 전력의 19%를 화력발전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일본은 따라서 발전부문의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가스나 석탄에 암모니아를 섞어 저탄소에너지원으로 쓴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런 계획은 각국 정부와 환경단체의 비판을 받았으나, G7은 결국 결국 에너지 안보를 고려해 일본의 에너지 전환전략을 승인했다.

G7이 석탄 퇴출 일정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가운데, 조너선 윌킨슨 캐나다 천연자원부 장관은 영국과 캐나다 등 일부 회원국들은 2030년까지 탄소포집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석탄 화력발전소 퇴출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그는 “다른 나라는 언제 석탄 화력발전소 퇴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모색하고 있다”며 “(G7은) 석탄 의존도가 높은 나라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진투자증권, "G7 회원국 개별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 상향해야"

이번에 G7이 제시한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달성하려면 주요국이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상향조정 하고 국내 태양광과 풍력발전 관련 업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유진투자증권의 한병화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말까지 G7 국가의 해상풍력 누적 설치량은 24GW, 태양광은 314GW”수준이라며 "따라서 향후 8년 간 해상풍력은 약 7배,, 태양광은 약 3 배의 설치량 증가가 필요하다. 이 수치는 주요국이 발표한 자체적 목표치 대비 추가적인 상향이 필요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G7 중 가장 큰 재생에너지 시장을 보유한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을 제정해 2032년까지 해상풍력과 태양광 설치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유럽연합(EU)도 러시아산 화석연료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해 ’리파워EU‘나 '그린딜 산업계획' 정책을 통해 공격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능력을 늘려가고 있다.

한 애널리스트는 현재 G7이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추진 속도를 고려하면 이번에 제시한 목표는 “정책 지원으로 충분히 달성 가능하다고 판단된다”며 국내 풍력과 태양광 업체들도 수혜 대상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