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사외이사 새로 뽑는데 사내이사 참여 배제
첫 단계로 주주로부터 사외이사 후보 8~16일 접수 "6월 사외이사 선임, 대표이사 후보자 7월 확정 목표"
[ESG경제=홍수인 기자] KT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사외이사 추천부터 선임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사내이사 참여를 못하게 한다. 지난달 구성한 '뉴 거버넌스 구축 TF'(이하 거버넌스 TF)가 이런 내용의 사외이사 선임 절차 개선안을 마련했다고 KT는 8일 밝혔다.
이 회사의 경우 특정 대주주가 없는 소유분산기업인 점을 고려해 주주 권익 보호 차원에서 ‘주주 대상 사외이사 예비후보 추천’ 방식을 도입한다. 이날 8일을 기준으로 KT 주식을 6개월 이상, 단 1주라도 보유한 주주는 사외이사 예비후보 추천이 가능하다. 주주 추천은 이날부터 오는 16일 오후 1시까지 받는다. 이와 관련된 실무적 사항은 KT 홈페이지에 나와 있다.
이렇게 모은 주주 추천 사외이사 예비후보에 외부 전문기관이 추천한 예비후보를 더해 사외이사 후보자 군을 만든 뒤 심사를 통해 이사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사외이사 선임 과정에서 사내이사의 참여를 배제하면 기존 사내이사 1인과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됐던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100% 사외이사로만 구성된다.
KT는 사외이사 선임 과정에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인선 자문단을 활용한다. 자문단은 거버넌스TF가 외부 전문기관에서 후보 추천을 받아 1차 평가를 한다. 자문단은 사외이사 후보를 전문성과 독립성, 공정성, 충실성 측면에서 심사해 후보자를 압축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를 토대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2차 평가를 해 최종 사외이사 후보를 확정한다.
1주만 가진 주주도 사외이사 후보 추천 자격
KT는 올들어 내세운 대표이사 후보들이 우여곡절 끝에 잇따라 낙마한 뒤 지난달 중순 국내외 주요 주주들의 추천을 통해 기업 지배구조 전문가들로 구성된 거버넌스TF를 출범한 바 있다. 이 TF는 소유분산기업의 '끼리끼리' 문화와 낙하산 인사 관행 등을 막기 위해 사외이사와 대표이사 선임 절차의 개혁 방안을 강구해 왔다.
거버넌스TF는 앞으로 투명하고 공정한 대표이사 선임 절차와 이사회 역할 등에 대해서도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사회의 감독 기능 강화, 주주 가치 제고, ‘내부 참호 구축'의 차단 등을 위해 사내이사를 대표이사 1인으로 한정(그럴 경우 사내이사는 3인→1인)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KT는 "TF가 마련한 개선안에 따라 주주 추천 후보 등 사외이사 후보군을 구성하고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춘 신임 사외이사를 다음달 말까지 선임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새 이사회가 구성되는 대로 대표 선임 절차를 서둘러 신임 대표이사 후보자를 7월까지 내도록 하겠다“고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