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100% 에너지자립 탄소중립형 건물 짓자”
30일 부산 에너지자립건물 찾아 ‘탄소중립 건물 정책’ 강조 부산수학문화관·에코델타 스마트빌리지 방문 업계 간담회
[ESG경제=김도산 기자] ‘100% 에너지 자립을 이루는 탄소중립 건물 정책을 발굴하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30일 부산에 위치한 에너지자립형 건물 부산수학문화관과 에코델타시티 스마트빌리지를 방문해 이런 취지의 탄소중립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해 신축된 부산수학문화관은 옥상에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됐다. 고효율 열펌프와 고성능 단열시공이 돼 있어 에너지자립률이 43%에 달한다. 그 결과 정부의 '제로에너지 건축물' 4등급 인증을 받았다.
뒤이어 방문한 부산 스마트빌리지는 태양광, 수열,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를 도입했다. 2021년 미래형 친환경 수소 도시인 에코델타에 지어졌다. 총 56세대가 거주할 수 있는 시범단지로 에너지자립률이 100%를 넘어 제로에너지 건축물 1등급 단지로 인정받았다.
한 총리는 방문 현장에서 업계 간담회를 열고 탄소중립 건축 시장과 관련한 건의 사항을 들었다. 부산수학문화관 설계사인 ING 건축사사무소는 연면적 500㎡ 이상 공공기관 건물이 의무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제로에너지 등급이 올해 5등급(자립률 20%)에서 2025년 4등급(자립률 40%)으로 상향 조정되는 점을 언급했다.
친환경 건축 시공사인 동성산업은 비수도권에 제로에너지 건축물 관련 전문업체가 부족해 설계와 시공이 어렵다고 호소했다. 스마트빌리지 컨설팅사인 청연은 기밀 성능 확보를 위한 구체적 기준과 매뉴얼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회사는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관련 사후 수리(A/S)가 미흡하고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한 총리는 "기후변화 시대에 필요한 건물은 빠르게 지을 수 있는 건물보다는 에너지 자립성과 효율성을 갖추고 친환경적으로 만들어지는 지속 가능한 건축물"이라며 "오늘 제기된 의견을 토대로 탄소중립 건물 실현을 위한 정책을 적극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은 한국 7개 특별·광역시 중 민간 부문에서 기존 건물을 친환경 발전 시설로 '그린 리모델링'한 사례가 작년 말 기준 9,059건으로 가장 많다고 총리실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