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흑해와 美·英·日 바다…새들에 ‘플라스틱 위험지역’
국제연구팀 "멸종 위기종 바닷새, 노출 위험 커…국제 협력 대응 필요"
[ESG경제=김도산 기자] 전 세계 바다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오염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지중해와 흑해, 미국·영국·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등이 바닷새들이 플라스틱 쓰레기에 노출될 위험이 특히 큰 지역으로 꼽혔다.
국제조류보호기구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의 베서니 클라크 박사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5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서 바닷새들의 활동 경로와 세계 바다 플라스틱 오염지도를 결합해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멸종 위기에 처한 바닷새들일수록 플라스틱 쓰레기에 노출될 위험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먼 거리를 날아 먹이를 사냥하거나 서식지를 옮기는 해양성 바닷새들은 소화관 구조상 섭취한 플라스틱이 체내에 더 오래 머물러 위험도 더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먼 거리를 비행하면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는 슴새(petrel) 종들은 플라스틱 위험에 더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슴새 77종, 7,137마리에 원격 추적 장치를 부착해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세계 해양 플라스틱 오염 농도 지도와 결합해 분석했다.
그 결과 바닷새들이 플라스틱 쓰레기에 노출될 위험이 가장 큰 곳은 지중해로 밝혀졌으며, 흑해와 태평양 북동부, 태평양 북서부, 대서양 남부, 인도양 남서부 등도 위험이 큰 해역으로 꼽혔다.
또 미국, 영국,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과 인근 공해도 바닷새들이 플라스틱 쓰레기에 노출될 위험이 큰 지역으로 분석됐다.
이들 해역에서는 발레아레스 시어워터, 뉴웰 쉬어워터, 하와이슴새 등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 슴새 종들이 주로 활동해 기후변화와 어업 등으로 이미 멸종 위기에 처한 바닷새들이 더 큰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