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열우일열(日熱又日熱)’…지구는 지금 가장 뜨거운 시대
고삐 풀린 기후 변화…관측 이래 연일 최고기온 신기록 기상기구 '예외적 온난화 시기' 경고…원인은 온실 효과 내년 기온 더 오를 듯…곳곳에 폭염·산불·가뭄 등 우려
[ESG경제=홍수인 기자] 지구촌 기온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기후변화에 엘니뇨 현상까지 도래하면서 이상 기후가 갈수록 극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6일(현지시간) 온실가스 배출과 엘니뇨의 여파로 지구가 수년간 계속될 ‘예외적인 온난화 시기’에 접어들었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7월 3일 이후 사흘 연속 지구촌이 역사상 가장 뜨거운 날을 보냈다는 기상 통계가 나온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 5월 낸 보고서에서 지구촌 최고 온도 기록이 조만간 깨질 수 있다고 예고했다. 지금까지 관측한 기록으로는 지구가 가장 더웠던 해가 2016년인데, 이 기록이 5년 이내에 깨질 확률이 98%라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문제는 이런 예측이 올해 곧바로 깨졌다는 것. 기상학자들은 3년 넘게 지속했던 라니냐 현상이 종료되면서 올해 하반기 엘니뇨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졌다고 경고했고, WMO가 지난 4일 엘니뇨 도래를 공식 선언하면서 이런 예고는 현실이 됐다. 라니냐 현상은 적도 부근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것이고 엘니뇨는 그 반대 현상이다.
실제로 지구촌 곳곳은 폭염에 신음 중이다.
중국 중북부 지역에서는 35도가 넘는 더위가 이어지고 있고 미국 남부에서도 지난 몇 주간 무더운 날씨가 지속됐다.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경우 기온이 50도를 넘어섰다.
미국 국립해양대기관리국(NOAA) 산하 국립환경예측센터(NCEP)는 4일 세계평균 기온이 17.18도를 기록해 전날(17.01도) 세운 사상 최고 기록을 하루 만에 갈아치웠다고 밝혔다. 미국 메인대학교의 '기후 리애널라이저'가 집계한 비공식 집계로는 5일 세계평균 기온도 17.18도였다.
대다수 과학자는 올해 발생한 엘니뇨가 올해 12월이나 내년 1월 이후에나 정점을 찍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이는 내년이 올해보다 더 뜨거운 한 해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NYT 전했다.
이상 고온 현상이 다른 자연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더욱 걱정되는 대목이다.
현재 캐나다는 통제 불능의 산불 피해를 입고 있으며, 남미 우루과이에선 마실 물이 없어 고통을 겪고 있다. 기온 상승 탓에 올해 미국에선 평년보다 훨씬 많은 허리케인을 겪을 수 있다는 예보도 나왔다.
기상과학자 가브리엘 베치는 "우리는 지난 150년간 온실가스를 늘려왔고 이는 우리를 평소와 전혀 다른 이상기후 영역으로 밀어 넣을 가능성을 훨씬 더 높일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