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사고로 상반기 118명 사망…현대엔지·금호 등
올 2분기 63명 사망으로 1분기보다 8명 증가
[ESG경제=김도산 기자]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2분기(4∼6월) 건설현장에서 숨진 근로자가 6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명이나 늘었다. 상반기에만 건설사고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사람은 무려 118명이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2분기 건설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 11곳과 사고 책임이 있는 하도급사, 공공발주 공사의 발주청, 인허가 기관(지자체) 등의 명단을 26일 공개했다.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3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명 늘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경우 지난 4월 가산DK 신축공사와 구리갈매 지식산업센터 신축공사에서 각각 1명씩 총 2명이 추락해 숨졌다. 한화건설의 인천국제공항 국제업무지역 현장과 고속국도 제29호선(서울~안성간) 건설공사에서도 각각 1명씩 총 2명이 물체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
롯데건설의 청담삼익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 현장, 금호건설의 행정중심복합도시 주상복합 신축공사 현장, 신세계건설의 스타월드 수원 신축공사 현장에서도 각 1명씩 사망자가 발생했다.
대광건영의 충북 오송 대광로제비앙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 시티건설의 평택~부여~익산 고속도로 건설현장, 보미건설의 남양주물류센터 신축공사 현장에서도 사망자가 나왔다.
대우산업개발의 서울 정릉동 도시형생활주택 신축공사 현장, 동문건설의 고양 화정동 오피스텔 신축공사 현장, 이수건설의 주공생연아파트 제건축 공사현장에서도 각 1명씩 추락사고 사망자가 발생했다.
발주처별로는 민간 공사에서 43명이 숨져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명 늘었다. 공공 발주 공사 사망자는 20명으로 전년 동기(10명)보다 2배나 증가했다.
한국농어촌공사가 발주한 변산저수지 수변공원 조성사업에선 지난달 건설 노동자가 익사하는 사고도 있었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인허가 기관은 경기 여주시와 파주시로, 각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