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미국 3만 곳에 ‘충전소 네트워크’ 구축
GM·벤츠·BMW·혼다·스텔란티스와 조인트벤처 설립 테슬라와 경쟁 본격화…WSJ "총 투자금액은 최소 10억달러"
[ESG경제=김강국 기자] 현대차와 기아가 BMW, 제너럴모터스(GM), 혼다, 메르세데스-벤츠, 스텔란티스와 손잡고 미국 전역에 충전소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현대차·기아·GM 등 7개 메이저 자동차 제조사는 26일(현지시간)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북미 지역의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한 조인트벤처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조인트벤처의 목적은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도시와 고속도로에 최소 3만개의 고출력 충전소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7개 메이저 회사는 모든 전기차 고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미국 표준인 CCS와 테슬라의 충전 규격인 NACS 커넥터를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미국의 첫 충전소는 2024년 여름에 개장하며, 이후에는 캐나다로 확대할 예정이다.
각 충전소에는 여러 대의 고출력 DC(직류전기) 충전기가 설치되며, 참여 기업들의 지속 가능성 전략에 따라 필요 전력은 재생에너지로만 공급할 계획이다.
조인트벤처측은 "가능한 곳에는 캐노피(지붕과 같은 덮개)를 설치하고 화장실과 음식 서비스, 소매점 등 편의시설을 충전소 단지 안이나 인근에 배치할 것"이라며 "일부 플래그십 충전소에는 추가 편의시설을 설치해 고객에게 최고의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동 충전 네트워크 구축 계획은 미 정부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보조금 프로그램(NEVI)의 요건을 충족해 공적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인트벤처는 구체적인 투자금액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으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조인트벤처에 최소 10억달러(약 1조 2,700억원)이 투자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자동차 기업들이 직접 충전 네트워크 구축에 나선 것은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입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가 충전소 부족이기 때문이다.
최근 GM과 메르세데스, 포드, 닛산, 리비안 등이 테슬라의 고속 충전소 '슈퍼차저' 2만2,000여 곳을 부분 사용하기로 계약하는 등 '적과의 동침'을 선택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현재 미국에 고속충전기는 3.2만대…2030년 18.2만대 필요
미 에너지부에 따르면 7월 현재 미국에 3만2,000대의 공공 DC 고속충전기가 있으며, 이를 230만대의 전기차가 이용하고 있어 충전기 1대당 차량 비율이 72대 수준이다.
미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는 2030년 운행이 예상되는 3,000만∼4,200만대의 플러그인(충전) 차량을 지원하려면 18만2,000대의 DC 고속충전기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7개사가 자체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한 것은 업계 1위인 테슬라와의 경쟁을 본격화한다는 의미도 갖는다. 테슬라는 미국 전체 고속 충전소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의 이번 프로젝트 투자는 지속 가능한 교통수단의 접근성을 높이려는 현대차의 비전과 일치하며, 광범위한 고출력 충전 네트워크를 만드는 데 다른 주주들과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