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삼성-CJ 자원순환협약…폐휴대폰 기부받아 재활용
내년 2월 시행…클릭해 신청하면 기부영수증·탄소중립포인트
[ESG경제=홍수인 기자] 경기도가 폐휴대전화를 기부하면 이를 파쇄·분리해 재활용하고 기부자에게는 기부영수증이나 탄소중립포인트를 제공하는 자원순환 프로그램이 내년 2월께부터 시행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3일 도청에서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신영수 CJ대한통운 한국사업부문 대표, 정덕기 e순환거버넌스 이사장과 이 같은 내용의 '고객참여 휴대폰 자원순환물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기업과 지자체가 협력해 휴대전화의 효율 자원 재활용으로 환경을 보호하자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세부적으로 보면 삼성전자는 웹사이트를 통해 고객의 폐휴대전화 수거 신청을 받고 CJ대한통운의 택배물류를 통해 수거한다. 수거된 휴대전화는 폐가전 재활용업체인 e순환거버넌스에서 운영하는 수도권자원순환센터로 들어가 파쇄 분리를 통해 성분별로 재활용한다.
휴대전화는 특별 제작된 다회용 안전파우치에 담아 배송되므로 재활용은 물론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파우치의 관리와 세척은 용인지역자활센터가 담당한다.
휴대전화를 기부한 참여자에게는 e순환거버넌스가 기부영수증, 탄소중립포인트 등의 혜택을 주고 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다.
경기도-삼성-CJ가 함께하는 이번 자원순환모델의 장점은 쉽고 안전한 폐휴대폰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 소비자는 집에서 클릭 한 번으로 손쉽게 폐휴대폰을 배출할 수 있다. 경기도는 폐자원의 재활용으로 환경문제 해결을 돕고 수거와 재활용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김동연 지사는 "휴대폰 수거는 2010년부터 해왔지만 너무 실적이 저조했다"며 "지자체와 기업이 맞손 잡고 할 수 있는 영역에서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면 일반 소비자들이나 시민들에게 믿음을 주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은 "경기도와 시민단체가 보증을 해주시면 저희가 대리점, 또는 모바일스토어, 홈페이지, 디지털스토어를 다 동원하고 신제품 발표 때도 적극적으로 홍보해 수거를 10배 100배까지 늘릴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신영수 CJ대한통운 한국사업부문 대표는 "대표적 생활물류 인프라인 택배 네트워크를 활용해 자원순환 모델이 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