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녹위, 청정메탄올 50만톤 생산 목표...실현 가능할까?
탄녹위, 30년까지 청정메탄올 50만톤 생산 목표 제시 원료 수급 어렵고 비싸...국내 그린수소 생산 기반 전무 시범사업 구체적인 계획과 일정도 없어
[ESG경제=김연지 기자]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가 지난 23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5차 전체회의를 열어 「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 추진전략」을 의결했다.
2030년까지 50만톤의 청정메탄올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인데, 현재 청정메탄올의 국내 생산량은 한덕수 총리의 발언대로 “전무한 실정”이다. 게다가 청정메탄올 시범도시로서 당장 2027년부터 연 2.2만톤 생산을 목표한 태백시의 시범사업도 구체적인 계획과 일정이 제시되지 않았다.
청정메탄올은 유망한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생산 원료에 따라 종류도 다양하다. 대표적으로는 바이오가스(미생물 등을 통해 생산된 가스 연료)나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 메탄올’, 포집한 이산화탄소와 그린수소를 활용한 ‘e-메탄올’ 등이 있다.
청정메탄올 산업 수요 날로 커져
실제로 청정메탄올에 대한 산업적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Maersk)는 204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만 신조 발주한다는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발주된 메탄올 연료 추진선은 약 200여척이며, 그중 78척은 국내 조선사가 수주했다. 메탄올 추진선이 늘어나면 청정메탄올 수요 증가는 필연적이다.
탄녹위에 따르면, 한국이 국내외 선박들을 대상으로 연료를 공급(벙커링)하는 비율은 전세계의 약 3%다. 현재 전 세계에 발주된 메탄올 추진선의 연간 소비 연료 중 3%를 계산하면 50~60만톤에 이른다. 2030년까지 50만톤을 생산해야 지금과 비슷한 벙커링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탄녹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전세계의 친환경 연・원료 대체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국내 준비는 매우 더딘 상황”이라며, “이는 조선・해운・자동차・석유화학 등 우리의 주력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시급한 대응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문제는 청정메탄올 생산 목표의 실현가능성이다. 청정메탄올을 만들기 위해서는 바이오가스, 그린수소, 포집된 이산화탄소 등의 원료가 필요하다. 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생산원가가 높은 e-메탄올 대신 바이오 메탄올을 우선 생산할 예정이지만, 그마저도 원료(바이오 원료) 수급에 한계가 있다.
결국 50만톤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바이오 메탄올과 e-메탄올을 병행해 생산해야 하는데, e-메탄올의 원료인 그린 수소 역시 국내 생산 기반이 전무한 수준이다. 원료 확보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청정메탄올 시범도시로 2027년부터는 연간 2.2만톤의 생산 목표를 밝힌 태백시의 시범사업 역시 구체적인 계획과 일정이 제시되지 않았다.
한편,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30년까지 ‘20년 대비 메탄 배출량 30% 이상 감축’ ▲30년까지 ‘18년 대비 공공건물·차량의 온실가스 배출량 37% 감축’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탄소중립 촉진 등의 목표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