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발전 안돼”…G7, 올해 신규 지원 중단 전격 합의
2021년을 지구를 위한 전환점으로 삼고, 2050년까지 온실가스 제로 달성 위해 노력키로 문 대통령,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구체 행동계획과 ‘그린 뉴딜’ 등 소개
[ESG경제=이진원 기자] 주요 7개국(G7) 정상들은 13일(현지시간) 올해 말까지 석탄 발전에 대한 각국 정부의 신규 지원을 중단하는 한편 탈(脫)석탄에 필요한 기술과 정책을 신속히 확대하기로 약속했다.
지난 11일부터 이날까지 영국 콘월의 카비스 베이에서 열린 정상회의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G7은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돕기 위한 노력 차원에서 기후 재정 출연을 늘리기로 한 공약도 재확인했다.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7개국은 이날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석탄 발전은 온실가스 배출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석탄 발전에 대한 지속적 투자는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의) 1.5도 이내로 제한하겠다는 목표와 양립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수그러들지 않는 석탄에 대한 투자가 지금 당장 중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2021년 말까지 국제 석탄 발전을 위한 정부의 직접적인 신규 지원을 중단하기로 약속했다"라고 덧붙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G7 회의 후 연설에서 개발도상국이 탄소 의존에서 벗어나는 걸 돕기 위해 최대 20억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 위한 공동 노력에 합의
G7 정상들은 또 "녹색 전환과 온실가스 배출 축소, 생물다양성 위기의 반전을 통해 2021년을 지구를 위한 전환점으로 만들어야 한다"면서 " 늦어도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0)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총동원하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 폭을 산업화 전과 비교할 때 1.5도 내로 제한해야 한다면서 석탄 발전이 온실가스 배출의 가장 큰 단일 원인임을 인식하고, 탄소 저감장치를 갖추지 않은 석탄 발전에서 탈탄소화 발전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가속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2009년 코펜하겐 합의와 2015년 파리협정에서 공약한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연간 1000억달러 규모의 기후변화 재원 제공 약속을 재확인했다.
G7 정상들은 성명에서 "2025년까지 공공 및 민간 자원으로부터 매년 1000억달러를 동원한다는 목표를 재확인하고, 이 기간에 전반적인 국제 기후변화 기금 기부를 늘리고 개선할 것을 약속한다"며 "다른 선진국도 이 노력에 동참하고 기여를 늘릴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 2030년까지 육지와 해양 면적의 30%를 보호 지역으로 지정하는 ’30 by 30′ 목표도 지지했다.
또 "우리는 2030년까지 지구 육지와 해양의 최소 30%를 보존·보호하는 것을 포함해 지구 생물다양성 목표를 달성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 정부의 기후변화 핵심 공약 재확인
한편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추가 상향해 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발표하고, 신규 해외 석탄발전 공적 금융 지원을 전면 중단하겠다는 정부의 기후변화 핵심 공약을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카비스베이에서 열린 초청국 참여 확대회의 3세션(기후변화-환경)에서 선도발언자로 나서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구체 행동계획을 소개하고, 생물다양성 손실 방지 및 회복에 동참할 것을 천명하며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참가 정상들이 '서울 선언문'을 채택하고 국제사회의 '포용적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 의지를 결집했고,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민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소개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한 기후 전환 필요성을 강조하고 우리나라가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을 주축으로 한 한국판 뉴딜을 통해 이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제사회의 공동목표인 탄소중립 촉진 방안으로 경제적 유인 구축을 통한 개인 행동과 의식 변화 장려, 기업의 적극적인 ESG 가치 수용 등 민간부문의 기후변화 대응 참여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