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 '30년까지 녹색금융 부문에 100조 지원...지방기업 지원도 확대

올해 녹색금융 부문 11조 공급목표...'30년엔 17조 9000억원으로 확대 지방균형발전 위해 4단계 지원체계 구축할 예정...지역 코어 기업 선발해 지원도

2024-05-29     홍수인 기자
신용보증기금 사옥 전경. 사진=신용보증기금

[ESG경제신문=홍수인 기자]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이 2030년까지 녹색금융 부문에 100조원을 지원한다. 또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지방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4단계 종합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방자치단체·벤처캐피털(VC) 등과의 협업도 지속해서 확대할 예정이다.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은 27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창립 48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신보는 우선 2030년까지 7년간 녹색금융 분야에 100조원을 공급할 예정이다. 신보는 이런 자금공급을 통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실행에 기여할 계획이다. 올해 공급 목표는 전년 대비 1조원 늘어난 11조 1000억원이며, 2030년 목표는 17조 9000억원이다. 구체적인 금액은 과거 5개년 녹색금융 공급금액의 연평균 성장률(11.1%)과 녹색금융 확대 의지를 반영해 설정했다고 전했다.

최 이사장은 이에 대해 “대기업은 자체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이 가능하지만 중소기업은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어 신보에서 나서고 있다”며 “신보는 현재 매년 녹색금융에 10조원 이상을 지원 중이고 오는 2030년까진 2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고 밝혔다.

신보는 지난해 한국부동산원과의 협약을 통해 건물 에너지 배출량을 산정하고, 자발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한 제조 업체에 최대 10억원의 운전자금을 지원하고 최장 5년간의 보증료율 차감(0.3~0.5%포인트) 혜택을 제공한 바 있다.

신보는 또한 지방균형발전을 위한 혁신생태계 구축에도 나설 계획이다. 올해는 지방시대 견인을 위한 협업기반 종합지원방안도 마련한다. 지방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지역창업 활성화 ▲지역기업 육성 ▲고속성장 지원 ▲강소·중견 특화지원의 4단계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1단계인 지역창업 활성화를 위해선 지역 주력 산업을 영위하면서 창업 7년 이내인 기업에 대한 전용상품을 신설해 보증 한도·비율, 보증료 등에 대한 우대혜택을 제공할 방침이다.

지역기업 육성을 위해선 지자체 연계사업(기회발전특구 입주기업 우대 등)을 추진해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며 고속성장 지원 단계에 있는 기업을 위해선 '지역 코어 기업(가칭)'을 선발해 혁신 아이콘 수준의 지원(한도 200억원 등)을 이어갈 계획이다. 강소·중견기업의 경우엔 대기업과 동반한 국내 투자, 해외 진출에 나설 경우 자금지원을 추진한다.

지방 균형발전을 위한 협업도 이어간다. 협업 대상을 기존 5대 광역시에서 도(道) 단위로 확대하고, 지자체 지원사업과 연계한 다각적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VC 등 민간과 협업체계를 확대하고 우대조치를 마련해 지방 혁신기업에 대한 투자 여건도 개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