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버크셔 헤서웨이 자회사와 첫 '청정전환요금' 방식 구매계약 체결
새로운 구매 방식...인프라구축·ESS에 일정 금액 투자 이번 계약으로 네바다 에너지로부터 115MW 규모 지열 발전 전력 공급받아 '30년엔 전세계 데이터 센터 2배 증가...전력망 인프라 증설 필수 구글, CTT 방식 확대 계획..."사용자가 전력망 확대에 일정 부분 투자해야"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구글이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의 자회사인 네바다 에너지(NV Energy)와 새로운 재생에너지 구매 계약 방식인 ‘청정전환요금(Clean Transition Tariff, CTT)' 기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CTT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업체와 전력구매계약(PPA)을 맺는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안정적으로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전력망 인프라 구축과 에너지 저장시스템(ESS)에도 일정 금액을 투자하는 방식이다.
구글은 지난 11일 성명을 통해 “PPA는 전력망과 분리돼 있으며, 기상 변화에 따른 태양광과 풍력 발전량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네바다 에너지와 'CTT 방식'의 재생에너지 구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전력 시스템을 완전히 탈탄소화하기 위해서는 필요할 때마다 청정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기술이 필요하다"며 “ 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 기술의 이점을 활용하고 전력 수요 증가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송전망 프로젝트에 더 쉽게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특히 지열 에너지, SMR과 같은 차세대 원자력, 장주기 에너지 저장장치 등에 대해서는 현재 인센티브가 제대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 보다 안정적인 에너지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투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CTT 계약을 통해 구글은 네바다 에너지로부터 115MW 용량의 지열 발전 전력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구글은 “네바다에 위치한 우리 데이터 센터 운영을 지원하는 지역 송전망에 24시간 연중 무휴 청정 전력을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열에너지가 적절한 솔루션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태양열과 풍력 발전을 통한 전력 수급에 더해 에너지원 다각화를 통해 안정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향후 구글은 CTT 방식의 전력 구매 계약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구글은 이 방식의 계약을 통해 “구글만 이익을 얻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CTT 구조가 시장 전체에서 널리 채택되는 경우 청정 에너지 용량을 확대하고 전력망 안정성을 개선하며, 청정 산업 전체를 성장하게 하는 공공의 이익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2030년에는 전세계 데이터센터가 현재보다 2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늘어난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전력망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CTT 방식은 전력 구매자도 전력망 구축에 일부 기여하도록 하는 구매방식인 것이다.
한편, 구글은 현재 전체 전력 소비중 64%의 무탄소 에너지로 전 세계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데이터 센터를 비롯한 전세계 사업장을 연중무휴 무탄소 에너지 (CFE)로 운영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