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형 기술기업들, ESG 정보 공시 의무화에 반대
법적 리스크 우려를 이유로 사업 보고서에 ESG 정보 포함되는 데 반대 ESG 정보 확대 요구하는 자산운용사들 반발 불러 SEC는 ESG 정보 공시 의무화 방안 등 검토 중
[ESG경제=이진원 기자] ESG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미국의 대형 기술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이 법적 리스크 우려를 이유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는 연례 사업 보고서(10k)에 ESG 관련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애쓰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이 같은 소식은 핌코와 인베스코를 포함한 대형 자산운용사들의 포함 요구와 달리 최근 며칠 동안 SEC에 제출된 기술기업들의 10k에 ESG 정보가 제대로 포함되어 있지 않아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이에 SEC는 관련 정보의 공시를 의무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SG에 관심이 많은 투자자들이 모여 만든 주주행동주의 조직인 ICCR(InterfaithCenter on Corporate Responsibility)의 조쉬 진너 상무이사는 “그러한 공시는 더욱 평등한 경쟁의 장을 일궈주는 한편, 기술기업들의 리더십을 강화해줄 것이다”라고 기대했다. 그는 이어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선두주자로서 자신들을 포지셔닝하고 있으므로 ESG 이슈 의무 공개를 지지하는 게 마땅하다”라고 지적했다.
ESG 정보 공개 둘러싸고 자산운용사와 기술 기업 간 갈등
FT는 ESG 정보 공개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자산운용사와 기술기업들 사이의 다툼이 적어도 몇 달 동안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구온난화와 인권 문제가 기업들에게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SEC는 ESG 산업에서 전례가 없는 공시 규제에 착수한 상태다. SEC로서는 더 많은 ESG 정보가 시장에 공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달 1일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증시로 유입된 자금의 3분의 1이 ESG 펀드로 몰렸다. 이로 인해 ESG 펀드들의 운용자산 규모는 4월 사상 최고인 14억 달러를 찍었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해서 두 배 이상, 그리고 비(非) ESG 자산보다 세 배 가까이 빨리 늘어난 액수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도 이러한 ESG 펀드 인기의 수혜를 톡톡히 보고 있다. 미국 ESG 펀드들이 가장 많이 투자한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이기 때문이다. 알파벳도 가장 인기 있는 10대 ESG 기업에 속하고, 미국 ESG 펀드 중 절반 가까이가 알파벳에 투자하고 있다.
지난주 알파벳은 다른 기술기업들과 함께 SEC에 보낸 서한을 통해 ESG 정보가 SEC에 제출되는 별도의 기후 보고서를 통해 제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ESG 자료가 연례 보고서에 포함되면 불확실성이 커져 잠재적 법적 소송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게 이유였다.
이어 “기후 관련 공시는 본질적으로 불확실한 추산과 가정에 의존하는 만큼 기업에 부당한 책임을 지우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