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정책브리핑] 환경부,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환경부,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탄소 연 100만t 감축
환경부는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 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과 이용을 활성화해 연간 100만톤의 온실가스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20일 제4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을 보고했다. 지난해 12월 국내 바이오가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정부는 산업 육성을 위해 관련 인프라 구축과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2026년까지 바이오가스를 연간 최대 5억Nm3(표준 입방미터, 온도 0도씨, 1기압 기준 기체의 부피) 생산해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더불어 연간 ▶유기성 폐자원 557만톤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LNG(액화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대체해 연간 230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공공 부문은 내년, 민간은 2026년부터 부여된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도의 세부 운영기준을 마련하고 이해관계자 대상 설명회를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생산 효율성 제고를 위해 2종류 이상 유기성 폐자원을 동시 투입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를 확대해 연내 15곳으로 늘린다. 시설 설치 확대를 위한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의 제도를 개선하고, 내년부터 민간 의무 생산자도 지원 대상에 포함한다.
이외 동식물성 잔재물 등 그간 바이오가스로 생산되지 않던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로 생산하기 위한 실증사업과 공정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생산된 바이오가스에 대한 수요처도 다각화할 계획이며,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바이오가스를 선박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청정메탄올'을 만드는 생산모델도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