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수소발전 시동...이르면 연내 발전소 건설 입찰 실시
수소 발전으로 전환할 가스 발전소 건설 건설 후 8년 안에 수소발전으로 전환해야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독일 정부가 연내 또는 내년 초까지 수소발전소로 전환이 가능한 가스발전소 건설을 위한 입찰을 처음으로 실시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6일 보도했다.
독일 정부는 호주나 모로코 사업자가 선정되면 5GW 규모의 수소발전 전환이 가능한 가스발전소 2기를 건설하고 기존 화력발전소의 수소 발전소 전환을 통해 2GW 급 수소 발전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0.5G 규모의 수소발전소도 건설될 예정이다.
독일 정부는 태양광과 풍력발전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수소발전소 건설을 추진해 왔고 수소발전에 대한 보조금 지급 계획도 마련했다. 독일 정부는 수소 발전으로 전환된 후 연간 800시간 가동 시 가스발전과 수소발전 비용의 차액을 보전해주기로 했다. 유럽연합(EU) 집행부는 지난 달 수십억 유로 규모의 보조금 지급을 승인했다.
독일 경제부는 이번 입찰을 통해 건설될 가스발전소는 8년 안에 그린수소 또는 블루수소 발전소로 전환돼야 한다고 밝혔다. 발전소는 산업시설이 밀집된 독일 남부에 건설될 예정이다.
산업부문 탈탄소화에도 수소 적극 활용
독일은 철강과 화학 등 전기화가 불가능한 산업의 탈탄소 전환에 수소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그린수소 생산 기반이 취약해 필요한 수소의 상당량을 수입에 의존해야 한다.
베를린에 있는 싱크탱크 아고라 에너지에벤데르(Agora Energiewende)와 아고라 인더스트리(Agora Industry) 4일 내놓은 보고소에 따르면 2035년까지 독일은 총 894TW의 에너지 수요 중 11.2%를 수소로 채울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 수요의 50~70%는 수입에 의존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독일이 천연가스를 수입하던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면 2035년까지 60~100TW의 블루수소와 그린수소를 수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고라 에너지에벤데르의 사이먼 뮬러 이사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독일은 안전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청정수소 공급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파이프라인을 활용한 수입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랙티브의 보도에 따르면 독일 내각은 지난 5월 수소 인프라 건설을 촉진하기 위한 수소촉진법(Hydrogen Acceleratipon Law)을 승인했다. 이 법은 수소 인프라에 ‘최우선 공공 이익’ 지위를 부여해 사업 승인 절차에서 당국이 수소 인프라 건설을 우선 심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허가 과정을 단순화, 디지털화하고 환경영향평가 기간도 단축하는 내용도 이 법에 담겨있다.
전문가들은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전해조 산업이 이 법의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수소발전으로 전환되는 화력발전소는 업계의 바램과 달리 이 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됐다.
독일의 발전사업자들은 독일 정부의 수소발전소 건설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다며 이런 상태라면 독일의 탈석탄 가속화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로이터는 이런 업계의 압력이 수소 발전소 건설을 위한 입찰을 앞당겼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