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핵융합 기술 3~4년내 미국 따라잡나…돈 2배 쏟아부어
연간 15억달러 투입해 빠르게 추격중...미국의 2배 규모 중국이 먼저 상업화 성공하면 에너지 주도권 빼앗길 수도 전문가들 "현재 속도라면 3~4년 안에 미·유럽 추월" 경고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중국이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에 미국보다 두배나 많은 돈과 인력을 투입하는 등 막대한 투자로 추격의 고삐를 당기면서 3~4년안에 미국을 능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대규모 핵융합 기술 캠퍼스를 완공하고 대기업들이 포함된 국립핵융합컨소시엄을 출범시키는등 핵융합에 연간 15억 달러(약 2조748억원)를 지출하고 있다. 미국 정부 핵융압 예산의 거의 두 배에 달한다.
이와 관련, WSJ은 중국의 관련 인력은 프로젝트 완료를 위해 24시간 3교대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핵융합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미국보다 10배나 많은 박사학위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에너지부의 핵융합에너지과학실장인 JP 알랭은 “중국은 수백명의 미국 핵융합 과학자와 엔지니어가 상업적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2020년에 발표한 핵융합 로드맵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이 이처럼 핵융합 기술 개발에 총력전을 펼치면서 서방국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이 먼저 핵융합 기술 상업화 성공하면 에너지 주도권 빼앗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 핵융합기술에 정통한 과학자들은 "중국이 지금과 같은 투자와 개발속도를 유지한다면 3~4년 안에 미국과 유럽의 자기 핵융합 역량을 능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럼에도 미국의 예산은 중국의 절반 수준에 그쳐 턱없이 부족하다. 2022년 조 바이든 정부는 10년 안에 상업용 핵융합 에너지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으며, 가장 최근인 2024회계연도에 핵융합 예산으로 7억9000만달러(약 1조 927억원)를 배정했다. WSJ은 “전년대비 4% 증가한 규모지만 물가 상승률보다 낮아 연구 보조금 및 인력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라고 꼬집었다.
핵융합 기술은 원자를 결합하는 과정이 태양이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과 같아 오랜 기간 청정에너지의 꿈으로 여겨져 왔다. 인공적으로 핵융합을 일으켜 에너지 생산하는 기술이 상용화한다면 거의 무한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화석연료와 달리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없고 폐기물 처리문제도 없으며 방사능 배출도 제한적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를 인간이 도달할 수 없는 '신기루'로 묘사하기도 한다.
핵융합 과학자들은 핵융합 에너지 연구기밀이 해제되기 시작한 1950년대 후반부터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해왔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은 세계 35개국이 참여하는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 가입국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협력 관계는 중국과 서방, 특히 미국과의 관계가 점점 더 적대적으로 변하면서 복잡해졌다.
수년간 중국의 핵융합 자문위원회를 맡았던 데니스 와이트 MIT 공학 교수는 “중국의 핵융합 발전속도를 과소평가하지 말아야 하며, 미국은 민간기업, 대학, 정부간 더 나은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이 경쟁에서 누가 이길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