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정책브리핑] 전남 나주에 '전기차 전주기 통합정보센터' 구축 외
경기도, 모든 시내버스 '친환경 차량' 전환 추진
환경부, 전남 나주시에 '전기차 전주기 통합정보센터' 구축
환경부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및 전주기 탄소배출량 관리 등 사용후 배터리 산업을 지원하고 유럽연합(EU) 배터리법 등 국제 통상규범에 대응하기 위해 전라남도 나주시에 2027년까지 '전기차 전주기 통합환경정보센터'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전라남도, 나주시와 함께 센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15일 체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센터는 전기차 배터리 성능 및 제원, 전기차 인증 및 보조금 산정, 전기차 충전 정보를 수집‧분석한다. 아울러 전기차 탄소발자국 산정 지침을 시스템에 구현해 기업들이 전기차의 제조 공정별 탄소발자국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기차 폐차 후 배터리를 재활용한 경우, 재생원료의 성상, 생산량, 판매처 등의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재생원료 생산인증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이는 배터리 제조부터 전기차 운행 및 폐차, 사용후 배터리 거래 및 유통, 사용후 배터리 재제조‧재사용‧재활용의 정보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과 연계될 예정이다.
센터가 구축되면 전기차 배터리 상태, 충전 이력정보 등을 확보할 수 있어 화재 등 배터리 안전사고 예방에 활용할 수 있고, 수출기업은 배터리 공급망 정보와 탄소발자국 시스템을 활용하여 통상규제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센터는 전라남도 나주시 혁신산업단지 내 부지 6,632㎡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2027년 개원을 목표로 현재 센터 건축과 정보화시스템 설계가 진행 중이다.
경기도, 모든 시내버스 '친환경 차량' 전환 추진
경기도가 2033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친환경 차량으로 바꾼다.
도는 '경기 RE100' 수송부문 정책의 하나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친환경 버스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실천 계획'을 15일 발표했다.
현재 경기도에는 시내버스 1만900대가 운행 중인데 이 중 76%가 경유 또는 CNG(천연가스) 버스로, 도는 앞으로 9년간 순차적으로 내구연한이 지난 차량을 모두 친환경 버스로 바꾸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환경부의 탄소 감축 규제를 받지 않는 3548대까지도 재정투입을 통해 전환을 앞당기겠다는 방침이다.
한국환경공단의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 사업별 감축원 단위 적용 가이드라인(2022년 6월)'을 근거로 볼 때, CNG 버스를 기준으로 1만900대가 전기버스로전환되면 연간 43만6000t의 이산화탄소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공공버스 전기버스 전환 정책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버스업체가 전기버스 전환을 통해얻을 수 있는 탄소배출권 신청·인증·판매 절차를 적극적으로 이행하도록 행정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규제받지 않는 3548대를 대상으로 탄소배출권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를 판매해 모두 71억원(3548대×200만원)의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돼 버스업체에 지급하는 공공버스 재정지원금이 절감되는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도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