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정책브리핑] 민관 공동 ‘공급망 탄소 데이터 플랫폼’ 구축 추진

2024-07-26     김현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세종청사 (사진=연합뉴스)

산업부, 민관 협력 ‘공급망 탄소 데이터 플랫폼’ 구축 추진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급망 내 탄소배출량에 대한 산정과 감축을 요구하는 글로벌 탄소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 공동으로 ‘산업 공급망 탄소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25일 대한상공회의소, 주요 업종별 협회 등과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얼라이언스’ 출범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 공급망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공급망 내 기업 간 탄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한국형 산업 공급망 (탄소)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종래의 방식이 아닌, 플랫폼은 데이터의 통로 역할만 하고 개별 기업의 데이터주권이자 영업비밀을 보장받는 방식인 ‘데이터 스페이스’를 채택해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 및 활용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우선 탄소규제 대응이 시급한 5대 업종(배터리, 자동차, 가전, 철강 및 알루미늄, 섬유)을 중심으로 기업의 탄소데이터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한 뒤, 향후 전체 업종과 전체 산업데이터를 포괄하는 방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탄소배출량 산정·감축 사업은 기존 개별기업 중심의 지원을 벗어나 수출 공급망으로 연결된 기업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산업단지·지자체 등과의 협업 지원 ▲‘국제통용 탄소발자국 검증제도’의 국제상호인정 확대 ▲부처간 ‘협업예산 제도’를 활용한 사업 효율화를 통해 정책 성과를 높일 예정이다.

또한 ‘FTA·통상종합지원센터’(☎1380)를 원스톱 통합창구로 활용하여 글로벌 탄소규제 관련 기업 애로상담 및 정보제공을 지원한다. 특히, 대응이 시급한 5대 업종은 별도로 ‘탄소통상 규제대응 협의체’를 구성해 정보 공유 등 업계의 규제 대응을 더욱 세밀하게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