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I‧TNFD, 생물다양성 공시 상호운용성 안내서 발간...공시기준 호환 가시적 성과

ISSB‧GRI‧ESRS 기준 간 상호운용성 제고 노력 가시적 진전 TNFD 공시 권고안도 주요 ESG 공시기준과 상호운용성 성과 ISSB, 자연자본 공시 기준 제정할 때 TNFD 기준 활용 계획

2024-07-31     이신형 기자
TNFD 홈페이지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와 ‘자연자본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NFD)가 두 기준을 사용해 생물다양성 공시에 나서는 기업의 공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상호운용성 안내서를 발간했다.

상호운용성 매핑(Interoperability Mapping)으로 불리는 이 안내서는 두 기준이 생물다양성 공시에서 요구하는 공통의 정보와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GRI와 TNFD는 30일 공동 성명을 통해 “시장참가자들의 피드백을 고려해 TNFD와 GRI는 GRI 기준을 사용하는 1만4000개 기관이 TNFD 권고안을 따르고 TNFD 권고안을 사용하는 기관이 GRI 기준에 따라 지속가능성 공시를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가이던스와 두 기준이 공시를 요구하는 정보와 지표 중 일치하는 항목이 담긴) 목록(correspondence table)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시아 기업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ESG 공시기준을 제공하는 GRI는 최근 생물다양성 공시기준인 ’GRI 101: 생물다양성 2024‘를 내놓았다. 이에 앞서 TNFD는 지난해 9월 자연자본 공시 권고안을 내놓았다.

두 기관은 이 안내서가 TNFD 권고안과 GRI 기준이 높은 수준의 상호운용성을 달성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내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생물다양성과학기구(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PBES)가 정의한 5가지의 직접적인 자연과 생물다양성 손실을 포함한 일관성있는 자연 관련 개념과 정의를 사용한다.

▲TNFD 권고안과 공시 가이던스에 임팩트에 초점을 맞춘 GRI의 중대성(materiality) 개념을 통합한다. TNFD는 유럽연합(EU)의 ESRS 기준처럼 임팩트 중대성과 재무중대성 모두를 채택하고 있다.

▲’GRI 101: 생물다양성 2024‘가 요구하는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 정보는 모두 TNFD 권고안에 반영돼 있다. TNFD 권고안이 요구하는 생물다양성 공시 정보는 자연 관련 위험 및 기회의 식별 및 평가를 제외하면 모두 GRI 표준에 반영된다.

▲TNFD 권고안의 핵심 공시 지표와 GRI 기준의 관련 지표 간 높은 수준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TNFD의 산업별 공시 지표와 이에 상응하는 GRI의 산업별 공시 지표가 높은 수준의 일관성을 보여 준다.

▲GRI 101은 자연 관련 이슈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가이던스에서 TNFD의 리프(LEAP) 접근법을 참조한다. 이 접근법은 생물다양성에 미칠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는 곳을 정확히 지적하고 자연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GRI 101은 생태적으로 기업이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에 위치해 있는지, 또는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 인근에 위치해 있는지 판단할 때 TNFD의 정의와 기준을 사용한다.

TNFD 권고안은 기업이 자연자본 관련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할 때 리프(LEAP) 접근법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법무법인 김앤장에 따르면 리프 접근법은 “기업과 관련된 자연의 위치를 파악(Locate), 자연에 대한 의존도와 영향을 측정(Evaluate)한 후, 기업의 리스크와 기회를 평가(Assess)해 이에 대응하고 공시를 준비(Prepare)하는 단계적 접근법이자 내부 실사 평가 프로세스”다.

GRI의 바스티안 벅 수석 공시기준 책임자는 “전 세계 수천 개 기관이 GRI 기준을 사용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미 공시하고 있다”며 “이들 기관이 이 안내서를 활용해 TNFD 권고안을 GRI 기준에 통합해 간소화된 공시를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ISSB‧GRI‧ESRS 기준 간 상호운용성 제고 노력 가시적 성과

ESG 공시기준을 통합하기 위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설립되고 ISSB가 지난해 ESG 공시의 글로벌 기준선을 확정했으나, 아직 공시 기준 통합은 요원해 보인다.

다만 여러 ESG 공시기준 간 상호운용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상호운용성은 같은 공시 주제와 산업에 대한 공시를 할 때 복수의 공시 기준이 요구하는 공시 항목과 공시 정보를 최대한 일치시키고 용어의 정의도 통일하는 것을 뜻한다.

우선 ESG 공시기준의 양대 산맥인 ISSB 기준과 유럽연합(EU)의 ESRS 기준과의 상호운용성 제고 방안이 눈에 띈다.

ISSB는 지난 5월 유럽연합(EU)의 ESG 공시기준인 ESRS 기준을 만든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과 공동으로 ISSB 기준과 ESRS 기준의 '상호운용성 가이던스(Interoperability Guidence);를 발간했다.

양 기관은 EU ESRS 기준의 재무중대성 정의를 ISSB 기준의 재무중대성 정의와 일치시키고, 주요 용어의 정의도 통일하기로 했다. 또한 ISSB 기준의 기후공시 요구 사항의 거의 대부분을 ESRS 기준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ISSB와 EFRAG는 재무중대성 만큼은 ISSB의 정의로 통일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주요 용어를 통일하고 ISSB의 기후공시 항목을 ESRS 기준이 대부분 수용하기로 했다.

GRI도 최근 자사의 공시기준을 사용하면서 유럽연합(EU)의 ESG 공시기준인 ESRS 기준에도 부합하는 공시를 할 수 있도록 ‘GRI-ESRS 연계 서비스(GRI-ESRS Linkage Service)’를 출시했다.

GRI와 EFRAG는 지난해 9월 GRI 기준과 ESRS 기준 간 일치하는 공시 항목ㆍ데이터를 공개한 바 있다. 이후 11월에는 GRI 기준의 요구 사항과 ESRS의 데이터 포인트가 어떻게 관련돼 있는지를 설명한 ‘GRI-ESRS 상호운용성 지수’를 공개하는 등 GRI 기준과 ESRS 기준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협력해 왔다.

GRI는 ESG 공시의 글로벌 기준선을 만든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와도 양측의 공시기준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공통의 공시 주제를 식별하고 용어를 통일하는 등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양측은 우선 최근 발표된 GRI 101 생물다양성 정보와 ISSB가 앞으로 내놓을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생태게 서비스(자연자본)에 대한 공시기준을 기반으로 두 기준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기로 했다

GRI에 따르면 2020년 현재 세계 250대 기업 중 73%, 100대 기업 중 67%가 GRI 기준을 사용한다. 민간 주도로 만들어진 다른 ESG 기준은 모두 ISSB 기준으로 흡수된 반면, GRI 기준은 아직 별도로 남아있다.

EU EFRAG와 TNFD도 지난 6월 두 기준을 사용해 자연자본 공시에 나서는 기업에 요구하는 공시 정보와 지표 중 일치하는 항목을 보여주는 안내서(mapping of the correspondence)를 공동으로 발간했다.

TNFD에 따르면 TNFD가 권장하는 14개 공시 항목 모두가 ESRS에 반영됐다. TNFD 기준과 높은 수준으로 일치하는 ESRS 공시항목은 기후 변화를 넘어선 환경에 관한 공시기준인 E2~E5다. E2는 오염, E3는 물 및 해양자원, E4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E5는 자원 사용 및 순환경제를 다루고 있다.

ISSB는 자연자본 공시기준을 만들 때 TNFD 기준 활용을 고려할 계획이다.

ISSB는 지난해 6월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한 데 이어 지난 4월 추가적인 공시기준을 만들기 위한 연구 과제를 발표했다.

새로운 ESG 공시 기준을 만들기 위한 연구과제로 선정된 주제는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생태계서비스 ▲인적자본이다. 이중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생태계서비스는 자연자본과 유사한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