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VCM, 원주민·지역사회 참여하는 포럼 출범시켜..."권리∙이익 반영"
지역별 대표 8인으로 구성...VCM 형성 지원, 모범사례 공유 타 시장참여자와 소통과 협력 강화, 지역사회 기회 모색 ICVCM CCP 원칙, 지속가능 발전 위한 안전장치 마련 요구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자발적 탄소시장 무결성 위원회(ICVCM)가 무결성 높은 탄소 크레딧의 생성과 자발적 탄소시장(VCM) 형성을 위해 감축 프로젝트 진행시 원주민과 지역사회의 권리와 이익이 반영될 수 있도록 이들로 구성된 포럼을 출범시켰다.
ICVCM은 지난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포럼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 북반구를 대표하는 8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독립적이고 자치적인 기구다.
포럼은 원주민과 지역사회의 우선순위를 식별하고 자발적 탄소시장의 기준을 제시하는 타 기관과 협력한다. 감축사업 개발자 등 시장 참여자들과 지역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원주민과 지역사회를 위한 기회를 모색하고 지원하며 모범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ICVCM의 아네트 나자렛 의장은 “이 포럼은 원주민과 지역사회가 핵심적인 생태계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무결성 높은 자발적 탄소시장을 형성하는 데 강력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탄소 크레딧을 생성하는 프로젝트가 금전적 이익과 프로젝트 소유권, 일자리 창출과 복지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지역사회에 지속가능한 개발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CP 원칙, 신규 프로젝트에 지속가능한 발전 위한 안전장치 마련 요구
ICVCM은 자발적 탄소시장의 글로벌 기준을 세우기 위한 비영리기구로, 지난해 고품질 탄소 크레딧에 대한 국제적 인증 기준인 핵심탄소원칙(CCP)을 수립했다. 기관은 지난 6월 이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무결성을 인정 받은 고품질 탄소 크레딧 2700만톤에 최초로 CCP 라벨을 부여했다.
ICVCM에 따르면 CCP 원칙은 탄소 크레딧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크레딧의 탄소 배출량 감축 효과를 보장하며, 모든 신규 감축 프로젝트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강력한 사회적, 환경적 안전장치를 마련하도록 요구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는 원주민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위험을 평가해 이를 완화해야 하고, 자유로운 사전 동의를 통해 운영돼야 한다. 아울러 프로젝트가 원주민 및 지역사회와 혜택을 공유하는 방식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한편 지난 2월 국제인권감시기구는 ‘탄소 상쇄의 피해자들(Carbon Offsetting’s Casualties)’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하며 캄보디아 남부에서 벌어진 국외산림탄소배출감축사업(REDD+) 프로젝트가 원주민들의 사전 동의없이 결정되었고 이들이 강제퇴거 당하는 등 원주민들의 권리를 침해했다고 폭로했다.
REDD+는 산림 파괴를 막는 활동을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증해 발행하는 탄소 크레딧으로,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크레딧 유형 중 하나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 정부는 삼림을 보호해 탄소 크레딧을 판매하는 전략을 적극 추진하면서 지난해 상반기 캄보디아는 페루와 함께 전세계 자연기반 탄소 크레딧의 17%를 차지하는 주요 공급국이 되었다.
국제인권감시기구의 수석 환경 연구원 루치아나 텔레스 차베스는 "지구의 환경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원주민을 배제하고 처벌하는 보존 전략은 용납할 수 없으며 역효과를 낳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