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정부·국회에 기업 ESG 경영 위한 인센티브 제공 건의

전경련, 7일 ‘국회 포용국가 ESG포럼·K-ESG 얼라이언스 연석회의' 개최 ESG 친환경경영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 제시 김학동 포스코 대표 '포스코 ESG 경영과 2050 탄소중립 비전과 전망' 주제로 강연 기업·과학·환경·사회 분야 대표, 정부, 국회 등 60여명이 참석

2021-07-07     이진원 기자

[ESG경제=이진원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정부와 국회에 기업이 친환경 기술 개발 등 ESG 경영을 할 수 있게 여러 가지 인센티브를 제공해 달라고 건의했다.

전경련은 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기업의 ESG 환경경영 노력과 지원방안'을 주제로 ‘국회 포용국가 ESG포럼·K-ESG 얼라이언스 연석회의'를 개최하며 K-ESG 얼라이언스 회원사 등의 의견을 수렴해 다음과 같은 ESG 친환경경영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탄소저감 기술 세액공제 등 지원 확대 ▲순환경제, 수자원, 토양, 천연자원, 생물다양성 등 친환경기술 전반에 대한 지원 확대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등 친환경 플라스틱 인증 확대 ▲수소경제 수소 연소 가스터빈 발전 활성화 ▲바이오항공유 공급 활성화를 위한 지원 확대 등이다.

자료 제공=전경련

이날 '포스코 ESG 경영과 2050 탄소중립 비전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에 나선 김학동 포스코 대표는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 기반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 20%, 2040년 50% 감축경로를 설정하고 사업장 감축 및 사회적 감축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며, 이를 위해 ▲고장력 자동차강판 ▲고효율 전기강판 ▲재생에너지 강재 등 친환경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포스코 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제품 공급 방안. 자료 제공=전경련 

김 사장은 탄소중립 로드맵과 관련해 "포스코는 감산 없이 공정혁신기술과 설비투자로 2030년 감축을 추진할 것"이라며 "탄소중립이 새로운 무역장벽이 되고 있어 수소환원제철 등 분야에서 경쟁국가나 글로벌 경쟁사 수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요국 지원규모는 EU의 경우 2030년까지 1조 유로, 미국의 경우 2025년까지 2조 달러, 일본은 2025년까지 30조엔 수준이다.

김 사장은 "탄소중립에 도달할 때까지 경쟁국·경쟁사와 비교해 과도한 규제는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은 "이번 연석회의가 ESG를 주제로 각계 대표가 모두 모여 머리를 맞대는 첫 회의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우리 기업들이 ESG 경영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정부와 국회에 전달해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기업·과학·환경·사회 분야 대표, 정부, 국회 등 60여명이 참석해 ESG 친환경 기술개발 촉진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국회 포용국가ESG포럼 대표인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오늘 나온 제안들은 국회 관련 상임위 의원들과 공유해 더 많은 기업들이 ESG 경영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앞으로 기업, 과학, 사회 등 각계의 의견수렴과 토론을 정례화할 생각"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