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서울시, 인구경영 최우수기업에 ‘삼성전기’ 선정
2024 인구경영 우수기업 시상식 개최 우수기업에 롯데정밀화학∙신한카드∙KB국민카드∙KT&G 넉넉한 부모시간 지원, 든든한 출산지원 등 부문별 시상
삼성전기가 올해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한미연)과 서울시가 선정한 '인구경영 최우수기업'으로 뽑혔다. 최대 10개월 출산 전 휴가 및 육아휴직 2년, 배우자 유급 출산휴가 최대 15일 등 법정 기준을 초과한 출산 및 육아 지원책과 여성리더 육성 지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미연은 설명했다.
한미연은 서울시와 2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인구경영 우수기업’ 시상식을 개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기는 17개 지표 평가 결과 최고점을 받아 ‘종합평가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돼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받았다.
이어 롯데정밀화학, 신한카드, KB국민카드, KT&G가 ‘종합평가 우수기업’으로 선정되어 각각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이사장상을 각각 수상했다.
롯데정밀화학은 육아휴직 기간 중 이지 러닝을 통해 온라인 교육을 지원하고 복직 후 ‘워킹맘 1대1 멘토링과’과 심리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신한카드는 은행권 최초로 난임치료 유급 휴가제도를 도입했고 유급 출산휴가 110일, 육아휴직 2년, 만 9세 이하 또는 초3 이하 자녀 육아 시 4시간의 근로를 단축하는 ‘맘편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KB국민카드는 출산 전후 유급휴가 6개월, 난임 시술 및 치료 시 휴가 최대 5일, 유급휴직 1년 등 출산과 육아 지원제도를 운영하며 육아휴직자를 대상으로 힐링 아카데미를 개설해 직원 교육도 실행하고 있다.
KT&G는 육아휴직 2년 차까지 지원급을 지원하며 출산휴가 이후 별도 신청 없이 육아휴직으로 전환하는 자동 육아휴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부문별 수상으로는 넉넉한 부모시간 지원 부문에서 한국머크와 한국오가논이 선정되어 각각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한국머크는 육아휴직자 업무 공백 대체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육아 휴직자 업무를 추가로 담당하는 직원에게 특별 포상금을 지원하고 있다.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을 육아기 단축근무 기간에 소급 적용하는 등 출산 후 여성 근로자의 빠른 복귀와 업무능력 회복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오가논은 임직원이 자신의 건강관리와 가족돌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간 10일의 유급휴가를 추가로 제공하며 선택적근로시간제, 금요일 단축근무, 주 2회 재택근무, 지역별 거점 공유 오피스 활용 등으로 근무 환경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든든한 출산 지원 부문에서는 매일유업, 삼성SDS,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선정되어 각각 여성가족부 장관상을 받았다.
매일유업은 난임 시술비 지원, 임신기 태교 여행 지원, 출산기 분유 지원 및 모유 분석 등 생애주기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SDS는 다태아 출산휴가 시 120일 중 75일분 급여를 지급하며 난임 휴가 5일, 만 12세 이하 자녀 육아 시 육아휴직을 2년 보장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3개년 연속 여성 출산 휴가 이용률 및 복귀율 100%를 기록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육아 휴직 최대 2년 보장, 난임 휴가 10일(최초 6일 유급) 등을 지원하고 있다.
부모가 함께하는 육아 지원 부문에서는 콜마홀딩스, 한미글로벌, 한화생명이 각각 서울시장상을 수상했다.
콜마홀딩스는 남녀 구분 없이 최소 1개월 이상의 육아휴직 사용을 의무화했고 2022년 기준 남성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이용률이 100%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한미글로벌은 남녀 구분 없이 최대 2년 육아휴직을 보장하고 고용보험 지원금과 본사 급여 간 차액을 100만 원 한도 내에서 보전해 주고 있다. 또한 근거리 인사 발령, 넷째 자녀 출산 직원에게 1년간 육아도우미를 지원하는 등 다자녀 지원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최근 3개년 연속 남녀 직원 모두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이용 및 복귀율이 100%이고 2023년 기준 남성 육아휴직 후 고용유지율 89%에 달한다.
앞서 한미연은 국내 자산 1조 원 이상 3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인구경영 평가를 진행했다. 한미연이 개발한 인구경영 지표는 기존 ESG의 사회영역인 S(social)의 구성요소 중 기업의 인구위기 대응 노력을 특히 강조했다. 지표는 ‘출산·양육지원’, ‘일·가정양립지원’, ‘출산친화 기업문화 조성’, ‘지역사회 기여’ 등 4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산식에는 기초평가 지표 17개(각 100점 만점)와 심화평가 지표 41개(각 100점 만점)가 적용된다.
한편 한미연은 수상기업을 중심으로 추후 ‘FFMA(Family Friendly Management Alliance, 가족친화경영 협의체)’를 구성해 인구경영과 관련한 뉴스 및 정책 동향을 공유하고 적극적으로 인구경영을 실천해 나갈 예정이다. [ESG경제신문=김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