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석탄 광산서 배출되는 메탄 포집 기준 강화
로이터, 메탄 함유량 30%→8% 이상시 포집하도록 상향조정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세계 최대 메탄 배출국인 중국이 석탄 채굴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더 많이 포집∙제거하기 위해 관련 규정을 강화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2일 중국 생태환경부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부처 대변인은 이날 “적극적이고 안정적이며 질서 있는 방식으로 메탄 배출을 통제하면 지구 온도 상승을 늦추는 기후 관련 이점과 에너지 자원 활용에 대한 경제적 이점, 그리고 산업재해를 감소할 수 있다는 안전상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규 규정에 따르면 석탄 채굴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메탄 농도가 8% 이상이고, 분당 10㎥(입방미터) 이상의 메탄을 배출하는 광산은 메탄을 반드시 포집해야 한다. 포집된 메탄이 활용될 수 없다면 연소 등을 통해 메탄을 제거해야 한다.
로이터통신은 이 규정이 지난 2008년 중국 정부가 최초 규정한 메탄 함량 기준 30%에서 상향조정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정부는 신규 광산은 내년 4월까지 이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기존 광산은 2027년 4월까지 유예기간이 부여된다고 밝혔다.
메탄은 대기 중 머무는 시간이 약 10년으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짧지만 지구 온난화 유발 효과는 최대 80배 더 큰 온실가스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적으로 단기간 빠른 기후 대응 효과를 위해 메탄 감축에 관심이 모이는 이유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메탄은 지구 평균 기온 상승에 25% 이상 관여하고 있다.
메탄은 농업과 습지 등의 자연배출원에서 발생하지만 특히 석탄, 석유와 가스 등 화석연료를 캐고 운반하는 전과정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인간 활동으로 인한 총 메탄 배출량의 3분의 1을 에너지 부문이 차지하고 있고, 이 가운데 중국이 석탄 부문에서 가장 많은 메탄을 배출하고 있다.
지난 2021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국제사회는 2030년까지 메탄가스 배출량을 2020년 대비 최소 30% 감축하기로 하는 ‘국제 메탄 서약’을 출범시켰다. 현재까지 한국을 포함해 미국, EU 등 150여개국 이상이 서명했으나 중국은 아직 가입하지 않았다.
중국은 지난 11월 미-중 기후특사 회담 종료 무렵 메탄 감축을 위한 국가행동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계획은 2025년까지 메탄에 대한 규제 감독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는 이 시스템을 “상당히 개선”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구체적인 메탄 감축 목표치는 포함되지 않아 공허한 계획이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