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허브 충남,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일자리 최대 108만개 창출

충남 '38년까지 9GW 석탁화력발전소 퇴출 계획 전환 시나리오...일자리 2만7000개~108만개 창출 가능 '50년 부가가치 창출 기여도 '22년 GRDP의 최대 52%

2024-12-18     김연지 기자
충남 태안에 위치한 한국서부발전 태안화력발전소 전경. 사진=연합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대한민국 석탄발전의 중심지였던 충청남도가 지역 경제 가치사슬을 가스로 전환할 때보다 재생에너지로 전환했을 때 사회·경제적 편익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후솔루션과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는 18일 충남의 에너지 전환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보고서 ‘충청남도 에너지 전환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 재생에너지와 가스 발전 비교’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충남은 전력 자급률이 214%이며 국내에서 가장 많은 석탄 발전소가 집중된 지역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남은 2038년까지 석탄 화력 발전소 18기(총 9GW)를 퇴출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석탄 발전소는 가스 발전으로 전환될 예정이며 이 중 일부는 충남 지역 내에 건설될 계획이다. 그러나 가스 발전으로 전환하더라도 여전히 온실가스 배출은 발생하며, 지역 일자리 감소 또한 피할 수 없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산업자원통상부가 2021년에 실시한 ‘정의로운 에너지전환을 위한 폐지 석탄발전소 활용방안’ 연구 용역에 따르면, 석탄 발전소를 가스 발전소로 전환하더라도 일자리는 최대 8000개 감소한다고 예상됐다. 반면, 이번 보고서는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을 실현하면 연평균 4만 개의 장기적인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재생에너지 통한 일자리 최대 108만 개…부가가치는 ‘22년 GRDP의 최대 52%

시나리오별 충청남도 에너지 전환에 따른 취업유발효과 그래프. 사진=기후솔루션

보고서는 가장 현실적인 재생에너지 전환 시나리오와 가장 이상적인 전환 시나리오까지 포함한 4개 시나리오에서 충남의 2050년 누적일자리 수가 약 2만 7000개에서 최대 약 108만 개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충남이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을 달성하는 수준으로 야심 차게 전환할경우 2050년까지 누적한 값을 기준으로 최대 108만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현재 충청남도의 석탄 발전 용량을 대체하는 가스 발전량(2550MW)에 상응하는 재생에너지 설치 ▲충청남도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에 기반한 재생에너지 설치 ▲충청남도 재생에너지 시장 잠재량 최대치 설치 ▲지역 전체 석탄발전소 퇴출에 상응하는 발전량(9100MW)만큼의 재생에너지 설치 등 4개 시나리오 기준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산업 중 국산화된 비율을 기반으로 취업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를 산정했으며, 두가지 주요 정책 수단을 추가해 고려했다. 재생에너지 설치 및 시공 단계에서 지역 조달 강화 규정인 LCR(Local Content Requirement)가 적용됐을 때 추가되는 경제적 효과와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시스템(ESS)를 연계 설치했을 때 추가되는 효과도 함께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재생에너지를 통한 지역내 부가가치 창출 기여도는 2022년 기준 충남 지역내 총생산(GRDP)의 최대 5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가스 발전으로 전환 시 예상되는 일자리는 누적 최대 2만 9000개로 부가가치 창출 기여도는 2022년 GRDP 기준 3%에 불과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훨씬 더 유리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보고서 저자인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김보람 부연구위원은 "에너지원의 선택은 여러 세대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결정”이라면서 “체계적인 계획과 전략적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재생에너지 확대는 국가와 지역 차원에서 가스 발전보다 더 높은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 더 나은 환경을 물려줄 수 있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러한 혜택을 실현하려면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을 지원할 다양한 유연성 자원의 확충과 지역 조달 및 인력 양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